서울의 10억원 이상 아파트 매매 비중이 올들어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2016년부터 꾸준한 상승세를 보인 이후 처음이다.
19일 직방이 국토교통부의 아파트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24.6%에 달했던 매매 가격 10억 이상 아파트 비중이 올해는 22.8%(지난 14일 기준)로 감소했다. 고가주택에 대한 대출 규제와 보유세 강화, 재건축 사업의 부진 등으로 강남·서초 지역의 거래량 감소가 영향을 준 것이라는 게 직방의 분석이다. 최근 5년 동안 매년 서울 전체 거래량의 10% 수준을 유지하던 강남과 서초의 거래는 올해 7.3%로 감소했다. 해당 지역 내 대부분 아파트는 10억원을 호가하며 고가주택 거래시장을 이끌고 있지만 각종 규제 및 재건축 사업 지연이 겹치며 매수세가 줄었다는 설명이다.
직방은 "강력한 규제로 고가주택 거래 시장이 일부 위축됐지만, 해제되면 언제든 다시 시장을 불안정하게 끌고 갈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