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분기 가구의 월평균 실제주거비 지출이 올해 처음으로 증가세로 전환했다.
가구당 실제주거비 지출은 올해 1분기 전년 동기 대비 8% 줄어든 7만3700원, 2분기에는 1.8% 감소한 7만8900원이었으나 3분기 들어 8만4000원대로 올라섰다. 전세를 월세나 반전세로 돌리는 집주인들이 늘어나고 월세 가격도 오른 데다, 사택 거주자의 기타의제주거비가 상승한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소득 계층별로 보면 소득 하위 20% 계층인 1분위의 실제주거비 지출은 월평균 9만5500원, 2분위의 지출은 평균 9만6400원으로 집계됐다. 고소득층일수록 자가에 거주하는 이들이 많은 만큼 소득 상위 60%의 월평균 실제주거비 지출은 하위 40%보다 적었다.
한편 월세 물가도 상승세를 보였다. 통계청이 집계하는 월세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3월까지 마이너스였다가 4∼5월에는 보합, 6월(0.1%) 이후 10월(0.3%)까지 소폭 상승했다. 세입자가 월세를 줄이기는 어려운 만큼 늘어난 월세지출은 결국 여타 소비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김세형 기자 fax123@sportschosun.com
틱톡-청룡영화상 투표 바로가기
2021 신축년(辛丑年) 신년 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