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이 남성에 비해 코로나19에 따른 고용 충격을 더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자 수 감소도 여성이 더 많았다.
지난달 여성 취업자(1171만8000명)는 지난해 대비 18만8000명(1.6%) 줄었다. 반면 남성 취업자(1552만3000명)는 8만5000명(0.5%) 감소하는 데 그쳤다.
산업별로 지난달 여성 취업자 수 증감률을 살펴보면 예술·스포츠 및 여가 관련 서비스업(-7.4%), 숙박·음식점업(-7.1%), 교육서비스업(-6.7%) 등에서 작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
직업별로는 판매 종사자(-6.2%), 서비스 종사자(-5.4%),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4.5%) 등에서 줄어들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상용근로자(+1.7%)를 제외하고 여성 취업자는 모두 준 것으로 조사됐다. 일용근로자(-11.9%)가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이어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8.7%),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3.3%), 임시근로자(-3.2%) 등의 순이었다.
지난달 구직 의지가 없고 취업도 하지 않은 비경제활동인구는 1667만5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43만1000명 증가했다. 이 중 여성이 21만9000명, 남성이 21만2000명 늘어났다. 지난 4월부터 여성 비경제활동인구 증가 폭은 남성을 웃돌고 있다.
정성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산업구조가 변화하는 시기에 사이사이 비어있는 영역으로 취약계층이 들어갈 수 있도록 일자리의 질적 특성을 고려한 정책도 들어와야 한다"고 말했다.
이미선 기자 already@sportschosun.com
▶2021 신축년(辛丑年) 신년 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