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19일은 '세계수면의 날'이다. 세계수면의 날은 2008년 세계수면학회(World Sleep Society)의 제안으로 시작되어 전 세계인의 수면건강을 증진하고, 수면의 중요성을 알리는 글로벌 캠페인이다. 세계 수면의 날을 맞아 필립스에서 시행한 글로벌 수면 조사 결과가 발표되어 눈길을 끌고 있다. 이번 조사는 전 세계 13개국(한국, 호주, 브라질, 중국, 프랑스, 독일, 인도, 이탈리아, 일본, 네덜란드, 싱가포르, 영국, 미국)의 1만3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그 이유와 관련된 항목들을 살펴보면 먼저, 한국인의 수면시간이 여전히 세계인에 비해 짧은 것으로 분석됐다. 세계인의 평일 평균 수면시간은 6.9시간, 주말은 7.7시간인 반면, 한국인의 평일 평균 수면시간은 6.7시간, 주말은 7.4시간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인은 자기 전 휴대폰 사용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세계인의 46%는 잠자기 전 마지막까지 휴대폰을 본다고 응답한 반면, 한국인의 51%는 잠자기 전 마지막까지 휴대폰을 본다고 응답했다.
우리나라의 수면시간이 여전히 세계 평균에 비해 짧게 조사된 것으로 미루어 지속적으로 수면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과 홍보가 필요하다.
대한수면학회 정기영 회장(서울의대 신경과)은 "수면의 질과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충분한 수면시간 확보하기, 잠들기 전에는 휴대폰 사용을 자제하기, 잠들기 전에 걱정이나 스트레스 줄여야 하며, 아울러, 정해진 시간에 규칙적으로 자고 일어나기, 가능한 낮잠 피하고, 햇빛 쬐기, 카페인섭취, 흡연, 음주 피하기 등의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2021 신축년(辛丑年) 신년 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