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날이 풀리고 옷차림이 얇아지면서 산과 공원 등 야외활동을 즐기려는 사람들로 북적이고 있다. 하지만 겨우내 움직임이 적었던 몸은 갑작스럽고 과도한 움직임에 무릎이나 어깨, 발목 등에 통증으로 무리가 왔다는 신호를 보내기도 한다. 이때, 통증의 원인이 근육통이라면 휴식만으로도 대부분의 증상이 호전된다. 하지만 관절 연골이나 인대, 힘줄 등의 손상으로 인한 관절 통증이라면 병원 치료가 필요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근육통은 일상생활 도중 가볍게 다치거나 특별한 이유 없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등이나 어깨와 같은 비교적 큰 근육에 주로 발생하는데, 단순 통증만 나타날 때가 많고, 가만히 있을 때는 덜 아프지만 근육을 움직이거나 손으로 눌러 압박을 가했을 때 통증이 심해진다. 근육 자체에 큰 부상을 입은 것이 아니라면 초기 2~3일 정도는 냉찜질이 효과적이지만 통증이 1주일 이상 지속된다면 온찜질이나 온욕, 스트레칭 등으로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단순 근육통이라면 1~2주 정도 지나면 통증은 사라진다. 갑작스럽게 운동을 많이 하거나 근육을 지나치게 사용해 생기는 근육통의 경우라도 휴식을 취하면 대개 2주 안에 통증은 자연스럽게 사라진다. 하지만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근육의 통증이 심하다면 근육 이완제나 진통제를 복용하는 것이 좋다.
반면 관절통은 근육통과 달리 치료하지 않으면 증상이 계속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
허재원 원장은 "부상 후 손상 부위에 계속 열이 나고 부어있다면 냉찜질을 해주는 것이 좋다. 또 타박상에 의해 멍이 들었을 때, 심한 운동 후 근육이 부어 올랐을 때도 혈관을 수축시키는 냉찜질이 효과적"이라며 "근육은 우리 몸에서 혈액 공급이 왕성해 회복 속도가 빠른 편이지만 인대나 힘줄, 연골 등은 혈관이 적게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단순 휴식만으로는 호전되지 않는다. 특히 관절통을 방치했을 경우 자칫 불안정성이나 관절염 등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충분한 휴식에도 통증이나 부기가 호전되지 않거나, 2주 이상 통증이 지속된다면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과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봄철에는 겨울 동안 줄어든 활동량과 운동량을 서서히 늘려주면서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걷기, 등산, 조깅, 자전거 타기 등과 같은 유산소 운동으로 시작하는 것이 신체에 큰 부담 없이 운동효과를 얻는데 효과적이다.
특히 운동 전에는 스트레칭으로 굳어있던 관절과 근육, 인대 등을 풀어주는 것이 좋다. 갑작스러운 반복동작은 근육섬유의 파열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기지개 펴기나 가벼운 맨손체조 등으로 통증이 느껴지지 않는 단계까지 해주는 것이 좋고, 시간은 5~10분 정도가 적당하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2021 신축년(辛丑年) 신년 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