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백화점업계 여성 직원 임금, 남성 절반 수준 그쳐…여성 상근임원 수도 2~3명에 불과

기사입력 2021-03-25 10:31


주요 백화점들의 여성 직원 임금이 남성 직원의 절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금융감독원 전자 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롯데백화점의 남성 직원 1인당 평균 급여액은 7528만6000원이었다. 반면 여성 직원의 1인당 평균 급여액은 4982만5000원으로 남성의 66.2% 수준이었다.

롯데백화점의 남성 직원은 총 1835명, 여성 직원은 기간제 근로자 23명을 포함해 총 2901명이다. 근속연수는 남성이 16.2년, 여성은 14.9년으로 남성이 길었으나 1.3년의 차이를 고려했을 때 임금 격차 수준은 큰 편이다.

롯데백화점은 2019년과 2018년에도 여성 임금이 각각 남성의 62.6%, 57.5% 수준에 머물렀다.

지난해 현대백화점의 1인당 평균 급여액은 남성 8700만원, 여성 3800만원으로 여성 급여가 남성의 43.7%에 그쳤다. 신세계백화점도 남성 8700만원, 여성 4600만원으로 여성 급여가 남성의 52.9% 수준이었다.

백화점업계는 여성 직원 중 캐셔, 회원 상담 등 비교적 급여가 낮은 서비스 직군 종사 비중이 높아 성별 임금에 차이가 생겼다고 설명했다.

현대백화점 관계자는 "2018년 고객 관리·사무보조 직무를 맡았던 비정규직 직원 1400여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하면서 여성 직원의 평균 급여 수준과 근속 연수가 대폭 줄었다"며 "현재 이들이 여성 직원의 45%를 차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지난해 현대백화점 직원의 성별 근속 연수는 남성 직원 12.3년, 여성 4.8년으로 큰 격차를 보였다. 다만 비정규직 직원의 정규직 전환 이전인 2017년에도 여성 직원 평균 급여는 3700만원으로 남성(6900만원)의 절반 수준이었다. 이에 대해 회사 관계자는 "당시에도 서비스 직군 대부분이 여성 직원이었기 때문이다. 같은 직군인 경우 성별 간 임금 차이는 없다"고 설명했다.


많은 보수를 받는 임원이 대부분 남성으로 구성돼 있기 때문에 성별 임금 격차가 크다는 일부 지적도 있다. 상근 임원 기준 여성 수는 롯데백화점이 32명 중 2명, 현대백화점이 52명 중 3명, 신세계백화점이 29명 중 2명이었다.

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