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줄어든 수요와 농산물 가격 급등이 겹치면서 이중고를 겪고 있는 외식업계가 비용 절감 대책으로 유통기한보다 긴 '소비기한' 도입 목소리를 내고 있다. 원재료 비용과 식품 폐기 비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달리 소비기한은 식품을 소비하는 소비자에게 초점을 맞춘 것으로 적절한 보관 조건에서 소비해도 안전에 무리가 없는 기한을 일컫는다.
식품별 적절한 보관 방법을 지키면 소비기한이 유통기한보다 얼마나 긴지 살펴보면 계란 25일, 우유 45일, 슬라이스 치즈 70일, 두부 90일, 참기름 2년6개월 등이다.
연구원은 "식품별로 보관 방법은 상이하지만 소비기한으로 변경해 표시하면 식품의 불필요한 폐기가 줄어든다"면서 "다만 소비기한이 표시되는 제품의 적절한 보관 온도 유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소비기한의 개념, 식품 보관 방법 등을 홍보·교육하고 과학적인 조사 실시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야 한다"며 "소비기한 표시제는 외식업체 영업 비용 중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식자재비 절감을 돕는 하나의 방안으로 고려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