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3분기 경제성장률 0.3% 그쳐…올해 4% 성장 '적신호'

최종수정 2021-10-26 08:57

코로나19 4차 유행과 공급 병목현상 등 영향으로 민간소비와 투자심리가 위축되면서 지난 3분기(7∼9월) 한국 경제가 0.3% 성장하는 데 그친것으로 조사됐다. 남은 4분기에 뚜렷한 회복이 나타나지 않으면 올해 연간 4% 성장률 달성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한국은행은 올해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속보치·전분기 대비)이 0.3%로 집계됐다고 26일 발표했다.

분기별 성장률은 코로나19 발생과 함께 작년 1분기(-1.3%)와 2분기(-3.2%) 마이너스(-)를 기록한 뒤 3분기(2.2%), 4분기(1.1%), 올해 1분기(1.7%), 2분기(0.8%), 3분기(0.3%)까지 5개 분기 연속 성장세를 유지했다. 하지만 올해 3분기 성장률이 앞선 1분기, 2분기와 비교해 크게 떨어졌다.

지난 8월 한은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4.0%로 유지했고, 9월 2분기 GDP 성장률 잠정치를 발표하면서 3분기와 4분기에 각 0.6%(전분기대비) 정도 증가하면 올해 4.0% 성장이 가능하다고 봤다. 3분기 성장률(0.3%)은 0.6%의 절반에 그쳤다.

부문별로 살펴보면 민간소비가 서비스(음식숙박, 오락문화 등)를 중심으로 0.3% 감소했다. 설비투자도 운송장비(자동차 등) 위축의 영향으로 2.3% 줄었고, 건설투자 역시 토목건설 위주로 3.0% 뒷걸음쳤다.

소비와 투자가 부진한 가운데 정부소비는 물건비 지출 등에 힘입어 1.1% 증가했다.

수출은 석탄·석유제품, 기계·장비 등을 중심으로 1.5% 증가했으나 수입은 운송장비(자동차 등) 등이 줄면서 0.6% 감소했다.

3분기 성장률에 대한 민간소비, 건설투자, 설비투자의 기여도는 각 -0.1%포인트, -0.4%포인트, -0.2%포인트로 분석됐다. 소비와 투자가 3분기 성장률을 끌어내렸다는 뜻이다.


반면 순수출과 정부 지출은 성장률을 각 0.8%포인트, 0.2%포인트 끌어올렸다. 업종별 성장률은 농림어업 8.8%, 제조업 0.2%, 전기가스수도업 0.8%, 서비스업 0.4%, 건설업 -1.7% 등이었다. 서비스업 가운데 운수업은 2.2%나 줄었다.

한편 실질 국내총소득(GDI) 증가율은 교역 조건이 2분기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면서 실질 GDP 성장률(0.3%)과 같은 0.3%로 집계됐다.


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