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경마를 대표하는 최강암말 '실버울프(암, 9세, R122, 윤우환 마주, 통산전적 37전 17승, 승률 45.9%, 복승률 59.5%)'가 정든 경주로를 떠나 새로운 마생(馬生)을 향해 발걸음을 뗀다.
지난 5일, 한국마사회는 서울 경마공원 오너스 라운지(출전마주 관람실)에서
한국마사회 문윤영 경마운영본부장과 윤우환 마주, 송문길 조교사 등 경마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실버울프의 은퇴행사를 시행했다. 이 자리에서 한국마사회는 윤우환 마주에게 한국 경마의 발전에 이바지한 공을 치하해 공로패를 전달하며 제주도에서 번식마로서 새로운 출발을 앞두고 있는 실버울프의 마생을 응원했다.
실버울프는 2015년 데뷔해 2019년에만 5개의 대상경주를 연속 우승으로 따내며 가장 빛나는 전성기를 장식했다. 뚝섬배 2연패, KNN배 2연패를 비롯해 2017, 2019년 퀸즈투어 시리즈를 두 번이나 제패하며 암말 중에서는 적수가 없는 최강마의 모습을 보였다. 그랑프리를 제패하면서 전설적인 암말로 회고되는 '감동의바다'에 이어 탄생한 또 하나의 레전드라는 평을 받기도 했으며, 여기에 대상경주에서 특히 강한 모습을 보여 국내 최다 대상경주 우승마라는 타이틀을 가진 경주마로 남게 됐다.
|
한국마사회 문윤영 경마운영본부장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최고 암말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실버울프가 6년간의 질주를 마치고 경주로를 떠나지만 한국 경마 발전을 위해 앞으로도 많은 활약을 보여줄 수 있을 거라 기대한다"며 "한국마사회는 앞으로도 세계 유수의 경주마 생산국들에 뒤지지 않는 경쟁력 있는 경주마 발굴과 육성을 위한 노력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현재 제주도에서 휴양 중인 실버울프는 내년 2월 씨암말로 데뷔할 예정이다. 경쟁력을 갖춘 모마(母馬)의 혈통에 따른 우수한 경주마 생산에 대한 기대 역시 쏠리고 있다. 그만큼 독보적인 성적으로 후계 자마들에 대한 기대감 역시 높은 만큼 제2, 제3의 실버울프가 탄생할 수 있을지 '여왕'의 행보에 많은 이들이 관심이 쏠리는 상황이다.
이원만 기자 wman@sportschosun.com
▶2022 임인년 신년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