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스마트폰 및 IT기기의 사용이 늘면서 소아기가 지난 청소년기에서도 눈동자가 안쪽으로 몰리는 후천적 내사시가 증가하고 있다.
사시의 종류는 눈동자의 위치에 따라 크게 내사시, 외사시, 상사시, 하사시 등으로 분류한다.
이 가운데
스마트폰에 의한 내사시는 충분히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스마트폰을 가까이 두고 사용할수록 사시 발생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최소 30㎝ 이상의 간격을 두고 사용해야 하며, 일일 스마트폰 사용 시간을 4시간으로 제한하는 것을 권장한다. 또 40분 스마트폰 사용 후 10분 주기로 휴식을 취하고, 휴식시간에는 창밖 등 먼 곳을 바라보며 눈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는 것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어린 나이부터 바람직한 스마트폰 시청 습관을 들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미국소아과학회(AAP) 발표에 따르면 2세 이하 영유아의 경우 전자미디어 노출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미취학 아동은 일일 전자미디어 노출 시간을 1시간 이하로 제한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또, 청소년기 자녀를 둔 학부모는 전자기기 사용이 자녀의 수면, 식사, 운동 등의 시간을 침범하지 않도록 지도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김안과병원 사시소아센터 김대희 전문의는 "실제로 최근 코로나로 실내에서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후천적 사시가 의심되어 병원을 찾는 환자들이 늘고 있다"며 "대부분의 경우 스마트폰 사용시간을 줄이면 회복이 되지만, 근본적인 예방을 위해서는 보호자가 어릴 때부터 자녀의 올바른 시청 습관을 길러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2022 임인년 신년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