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비즈브리핑] 니가 왜 거기서 나와?…광고모델서 애널리스트까지 활동 영역 넓히는 '가상 인간'

최종수정 2022-05-19 09:48

◇삼성증권 버추얼 애널리스트. 사진캡처=삼성증권 유튜브

'니가 왜 거기서 나와?'

버추얼 휴먼(가상인간)의 활동 영역이 점점 넓어지고 있다. 광고모델을 넘어서 애널리스트, 쇼호스트 분야까지 섭렵했다.

초기 가상인간은 '반짝 화제'에 그칠 것이란 평가를 받았다. 실제 사람과 어설프게 닮은 듯한 모습이 오히려 불쾌함을 안겨준다는 부정적인 의견도 많았다.

이러한 시장의 반응을 의식한 기업들은 날이 갈수록 피부 솜털과 잔머리까지 정교하게 구현한 가상인간을 선보이고 있다. 또 뮤직비디오, 쇼핑 라이브 방송 등 재미도 있고 유익한 콘텐츠를 내놓으며 호평을 받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가상인간은 메타버스 등 다양한 사업과 연계도 가능해 무궁무진한 사업 확장성을 가지고 있다. 이를 활용해 브랜드 홍보에 나서는 기업들이 점점 더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가상인물 '로지'를 광고모델로 내세운 신한라이프는 로지가 나오는 뮤직비디오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소개 영상을 꾸준히 선보이고 있다. 보험이 가지고 있는 '어렵고 딱딱하다'는 이미지에서 벗어나 고객과 적극 소통에 나선다는 점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삼성증권은 현업에서 활약중인 애널리스트의 모습과 음성 등을 인공지능(AI) 기술로 학습시켜 버추얼 애널리스트를 만들었다. 텍스트만 입력하면 실제 애널리스트가 방송을 진행하는 것처럼 자연스럽게 투자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삼성증권의 가상 애널리스트들이 전하는 주식 소식은 유튜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삼성증권 관계자는 "애널리스트들이 종목이나 시장연구, 기관고객 세미나 등 본연의 업무에 집중하는 시간에도 버추얼애널리스트를 통해 시의적절한 유튜브 방송을 할 수 있게 돼 리서치 효율과 고객만족도 모두 높일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


앞서 네이버는 지난 3일 화장품 브랜드 출시를 맞아 진행된 쇼핑 라이브를 통해 가상인간 쇼호스트 '이솔'을 공개했다. 뷰티 분야에 관심이 많은 24세라는 콘셉트도 부여했다.

이솔은 리얼타임 엔진을 기반으로 제작된 풀 3D 가상인간으로 컴퓨터 그래픽 및 딥페이크 기술로 실제 사람 모델에 얼굴을 합성하는 것보다 자연스러운 모션 연출이 가능하다고 네이버는 설명했다.


이미선 기자 already@sportschosun.com


당신은 모르는 그 사람이 숨기고 있는 비밀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