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주요기업 새 사외이사 34%는 관료 출신…검찰 출신 '최다'

조민정 기자

기사입력 2023-05-09 09:22 | 최종수정 2023-05-09 10:03


국내 30대 그룹의 올해 정기 주주총회에서 신규로 선임된 사외이사 34%는 관료 출신이고, 그 중에서 검찰 출신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분석연구소는 국내 30대 그룹 가운데 사업보고서를 제출하는 219개 기업의 신규 사외이사 147명을 대상으로 이력 조사를 실시한 결과 관료 출신이 50명(34.0%)로 가장 많았다고 밝혔다. 관료 출신 비중은 지난해(30.5%)보다 3.5% 포인트 상승했다.

이 중에는 검찰 출신이 12명(24%)으로 최다였다. 삼성SDS 사외이사에 선임된 문무일 전 검찰총장이 대표적이다. 한화시스템과 한진은 윤석열 대통령과 사법연수원 동기(23기)이자 대검찰청 차장검사직을 역임한 구본선 변호사를 사외이사로 선임했다. 롯데케미칼과 현대건설기계는 차경환 전 수원지검장을, 고려아연의 경우 권순범 전 대구고검장을 사외이사에 각각 선임했다. 현대위아의 신규 사외이사직에는 이동렬 전 서울서부지검장이 선임됐다. 이마트와 광주신세계는 이상호 전 대전지검장과 이건리 전 창원지검장을 사외이사로 신규 선임했다.

검찰 다음으로는 국세청(7명·14.9%), 법원(6명·12.8%), 공정거래위원회(4명·8.5%) 등 순으로 관료 출신의 사외이사가 많았다.

사외이사 중 관료 출신 비중을 그룹별로 살펴보면 영풍그룹은 신규 사외이사 3명이 모두 관료 출신이었다. 신세계그룹은 신규로 선임된 사외이사 10명 중 8명이, 현대백화점 그룹은 신규 사외이사 8명 중 6명이 모두 관료 출신이었다.

신규 사외이사 가운데 학계 출신은 38명(25.9%)이었다. 학계 출신 비중은 지난해(31.7%)보다 5.8%포인트 줄었다.

재계 출신 사외이사는 32명이었다. 재계 출신 비중은 6.0%에서 21.8%로 15.8%포인트나 급증했다.

한편 신규 사외이사 중 여성은 27명으로 비중은 18.4%를 차지했다. 조민정 기자 mj.cho@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