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yle='display:inline-block;width:728px;height:90px; margin:auto;' data-ad-client='ca-pub-6314880445783562' data-ad-slot='6712803571'>
new HawkEyes({'type':'banner','responsive':'N','platform':'M','scriptCode':'954384','frameCode':'43','width':'320','height':'100','settings':{'cntsr':'4','mChk':'100'}});
국내 대표 저비용항공사(LCC)인 진에어가 여객기 결함과 후속 조치 미숙으로 소비자의 불만과 불편함을 키우고 있다.
진에어는 지난 20일 낮 12시(현지시간) 일본 삿포로에서 승객 360여명을 태우고 인천으로 향할 예정이던 여객기가 기체 결함으로 결함을 이유로 출발이 지연됐다. 여름 휴가철을 맞아 해외여행에 나선 승객들은 큰 불편을 겪었다. 현지 직원에게 제대로 된 지연 사유는 듣지 못했고, 20시간 넘게 공항에 발이 묶인 채 대기해야 했다. 기체 결함 사유는 엔진 연료 계통 이상이었다. 진에어는 현지에서 교체 부품을 구할 수 없어 인천에서 부품을 조달해 대체편에 실어 삿포로 공항에 보냈고, 승객들은 대체편과 정비를 마친 항공편을 타고 당초 일정보다 하루 늦은 지난 21일 인천공항에 도착했다.
반복되는 지연 문제…피해는 승객의 몫
진에어의 기체 결함에 따른 지연 출발은 처음이 아니다. 지난 7월 17일(현지시간)에는 타이베이에서 인천으로 향할 예정이던 여객기의 출발 시간이 15시간가량 지연됐다. 유압계 이상에 따른 것으로 정비를 마친 뒤 예정보다 늦게 인천공항에 도착했다. 당시 진에어는 승객에게 지연 상황을 안내하고 식사 쿠폰과 소정의 지연 보상금을 제공했다.
style='display:inline-block;width:640px;height:360px' data-ad-client='ca-pub-6314880445783562' data-ad-slot='7488459465'>
지난 1월부터 5월까지 국토교통부에 접수된 진에어의 기체결함 건수는 11건에 달한다. 매달 평균 2건의 기체 결함이 발생한 셈이다. 최근 두 달 사이 기체 결함에 따른 출발 지연도 2번째다. 업계 일각에서 안전불감증이 아니냐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물론 여객기의 결함을 이륙 전 발견, 안전점검에 나서는 것은 잘못된 것은 아니다. 다만 기체결함 등 안전 관련 문제가 잦아지는 것은 짚고넘어갈 필요가 있다. 경미한 사고가 반복되면 대형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여객기 기체결함의 피해는 고스란히 승객들의 몫이다. 제대로 된 휴가를 즐기지 못했고, 위험한 상황 등에 직면했을 땐 불안감에 떨어야 했다. 여객기 지연 관련 승객 대응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경우 더욱 그렇다. 최근 발생한 삿포로의 기체 결함에 따른 지연 당시 현장에서는 고성이 오가는 등 분위기가 좋지 않았고, 현지 경찰이 출동하는 일도 발생했다.
style='display:inline-block;width:640px;height:360px' data-ad-client='ca-pub-6314880445783562' data-ad-slot='98662084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