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실적 부진하다면서…10대 증권사, 지난해 주식·채권·파생상품 담당 임직원 상여금만 820억원

강우진 기자

기사입력 2023-10-24 09:33 | 최종수정 2023-10-30 09:12


지난해 10대 증권사가 주식과 채권, 파생상품 담당 임직원에게 지급한 상여금은 82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종민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8∼2022년 10대 증권사(KB·NH투자·대신·미래에셋·메리츠·삼성·신한투자·하나·한국투자·키움)의 고유자산운용부서(주식·채권·파생 포함) 임직원이 받은 상여금 규모는 3018억300만원이었다.

연도별로보면 2018년 469억4500만원, 2019년 447억3900만원, 2020년 552억7800만원, 2021년 728억5000만원, 2022년 819억9100만원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증권사별로는 메리츠(694억3100만원), 하나(629억5300만원), KB(413억5500만원), 삼성(329억2100만원), 신한투자(296억8100만원), 한국투자(228억3100만원), NH투자(194억7400만원), 미래에셋(150억8200만원), 키움(63억5000만원), 대신(17억2500만원) 순이었다.

증권사들은 2020∼2021년 코로나19 당시 주식 열풍에 힘입어 사상 최대 실적을 누렸다.

그러나 2021년 말부터는 증시부진과 금리 인상 여파 등으로 2022년 순이익이 전년 대비 감소세로 전환했다. 실적이 부진한 상황에도 성과급 지급 규모가 늘어난 것은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최근 금감원 국정감사에서 "잘못 설계된 체계로 인해 과도한 성과급이 지급되는 것은 문제가 될 수 있다"며 "업권과 사업장별로 과도한 사례가 없는지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강우진 기자 kwj1222@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