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연합뉴스) 김진방 기자 = 농촌진흥청은 농산부산물 새활용(업사이클링) 관련 스타트업에 규제·제도 개선을 지원해 상용화의 발판을 마련했다고 29일 밝혔다.
규제샌드박스는 기업들이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마음껏 실현할 수 있도록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일정 기간 기존 규제를 면제하거나 유예하는 제도다.
비유는 감귤 가공과정에서 나오는 감귤 착즙박이나 상품성이 없는 감귤을 활용해 인공토양소재, 토양보습재를 만들고, 감귤 오일을 추출해 탈취제 등을 만드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농진청은 이번 규제샌드박스 규제 특례 승인으로 농산부산물이 신소재로 가치를 인정받고, 농가 소득 증대 및 친환경 제품 시장 활성화 등 파급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또 다른 스타트업들과 추진하고 있는 '배착즙박', '커피박' 등의 규제 특례 승인을 추진할 계획이다.
김정은 비유 대표는 "이번 규제샌드박스 규제 특례 허가로 감귤 부산물 새활용 제품의 상용화가 첫발을 내딛게 돼 매우 기쁘다"며 "앞으로 환경과 사람 모두에게 유익한 자원순환 경제를 이룩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진숙 농진청 푸드테크소재과장은 "농산부산물은 미래 산업의 핵심 자원이 될 수 있는 소재이며 농산부산물 새활용은 환경문제 해결 및 경제적 가치 창출이라는 이점이 있다"며 "이를 계기로 관련 부처 및 산업계와 협력해 정책 개선과 기술개발을 연계한 통합적 산업화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chinakim@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