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원=연합뉴스) 김선경 기자 = 경남 창원시내 도시철도(트램)의 최적노선은 '월영동∼창원시청∼진해구청'이라는 용역 결과가 나왔다.
시는 창원지역 트램 도입 계획이 담긴 '경상남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이 2023년 국토교통부 승인을 받은 이후인 지난해부터 사전타당성조사 용역에 착수한 바 있다.
당시 승인받은 계획에는 3개의 트램 노선이 포함됐다.
해당 노선은 마산역∼창원중앙역(연장 15.8㎞), 창원역∼진해역(19.3㎞), 월영광장∼창원시청∼진해구청(33.2㎞) 구간이다.
용역 결과 가장 높은 점수를 얻은 노선은 '월영동∼창원시청∼진해구청'이었다.
이 노선이 이용수요가 가장 많았고, 마산∼창원∼진해지역을 모두 연계할 수 있어 경제성, 재무성, 지역 균형발전 측면에서도 높은 점수를 받았다.
다만, 트램 사업비(6천819억원→1조606억원) 및 운영비(연간 202억4천만원→351억원)가 당초 시가 예측한 규모보다 각각 1.5배, 1.7배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따라 시는 재정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더욱 현실적인 사업 추진방안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 트램과 BRT(버스전용차로 도입 구간)가 혼용되는 구간의 경우 환승 효율성 측면에서는 장점이 있지만, 혼용에 대한 법적 규정이 없어 법령 개정도 수반돼야 한다고 시는 판단한다.
일부 전문가는 궤도차량 시스템인 수소트램에 한정하지 않고, 최근 모빌리티 규제샌드박스 실증 특례를 통과한 무궤도차량 시스템(TRT·Trackless Rapid Transit) 등 다양한 운행 시스템 적용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시는 용역 결과를 토대로 트램과 BRT의 병행 추진에 따른 문제점 해소, 관련 법령 및 제도 개선, 사업성·재정건전성 확보방안 등을 마련해 종합적 추진 계획을 수립해 나가기로 했다.
이런 문제들이 해결돼야 트램 구축사업에 수반되는 국비 확보를 위한 예비타당성조사 신청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시 관계자는 "최적노선에 대한 용역 결과는 나왔지만, BRT와 혼용되는 구간에 대한 법령 개정 등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하기 전 해결해야 할 부분이 많아서 현재는 예타 신청 시기를 가늠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ksk@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