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북미 회동 전격 성사 가능성 배제 못해…북중 관계 개선 시도에도 답보 상태"
(서울=연합뉴스) 이유미 조다운 기자 = 국가정보원은 30일 러시아의 제2차 세계대전 승리 80주년 기념행사(5월 9일·전승절)에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직접 참석하지 않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했다.
국정원은 이날 국회 정보위원회 비공개 간담회에서 이런 내용을 보고했다고 더불어민주당 김병기·국민의힘 이성권 의원이 기자들에게 전했다.
국정원은 북러 관계와 관련, "김 위원장의 방러 협의는 (북한과 러시아의) '파병 공식화'로 새로운 전환점을 맞은 만큼 원점에서 재개될 가능성이 있다"며 "러시아 전승절 80주년 행사에는 김 위원장이 직접 참여하지 않고 최룡해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등 대체 인사 참석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국정원은 "김 위원장이 참석하려면 몇 주 전부터 경호 등이 관측돼야 하는데 그렇지 않은 것으로 봐선 (참석 인사가) 김 위원장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김 의원은 북한군의 러시아 전승절 열병식 참여 가능성에 대해 "할 수도 있다"면서도 "아직 관측은 되고 있지 않은 것 같다"고 답했다.
또 북한과 러시아가 파병 사실을 공식화한 배경에 대해선 "대러(러시아) 최우선 밀착 기조 속에서 (러-우크라) 종전 후 동맹 방기를 피하려는 김정은과, 극적인 승전의 모양새가 필요한 푸틴의 입장이 절충된 결과"라고 분석했다.
이어 "이를 계기로 북한은 공세적 반대급부를 요구하고 정식 교전국 지위 행사를 하고 러시아 뒷배를 업어 도발 등 행보가 예상된다"고 보고했다.
국정원은 북미 관계와 관련해선 "북한은 미국에 최강경 대응 전략 아래 (미국의) 태도 전환에 대한 지속적인 압박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아울러 "현재까진 구체적인 접촉 동향은 확인되지 않지만, 북한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대한 비난을 자제 중이고, 트럼프 대통령도 유화 메시지를 발신 중이기 때문에 북미 회동이 전격적으로 성사할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국정원은 북중 관계에 대해 "북한은 중국과는 러-우크라 종전에 대비한 '리스크 헤징'(위험 회피) 차원에서 관계 개선을 시도하고 있지만, 중국의 '북한 길들이기'가 지속적으로 진행돼 답보 상태에 있다"고 보고했다고 두 의원이 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국정원은 북한 내부 동향과 관련해서는 "김 국무위원장은 건강 이상 징후 없이 분주히 국방 민생 행보를 전개하고 있다"며 당 창건 80주년 및 9차 당 대회를 앞두고 러시아의 종전 후 동맹 관계 방기 우려 해소와 미국 트럼프 2기 정부 대응에 부심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국정원은 "고위 간부 기강 잡기에 이어서 당 비서국 회의, 인민반장 회의 등 이례적인 정치 행사를 기획해 정책 추진 동력 확보를 도모하고 있다"며 한동안 모습을 보이지 않았던 조용원 노동당 조직비서는 50여일간 근신 처분을 받았고, 4개월째 잠적 중인 리일환 선전비서도 유사한 처분 상태로 관측했다.
다만, 조 비서의 경우 복귀 후에도 중앙위 배지를 착용하지 않고 있는 것을 볼 때 완전한 복귀는 아닌 것으로 분석됐다.
김 위원장의 둘째 딸 김주애의 행보에 대해선 "4월 들어 김정은의 역점 사업 현장 방문을 연거푸 수행하면서 후계 구도 구축 분위기를 다져가고 있는 양상"이라고 보고했다.
국정원은 또 "무리한 지방 건설, 군수 생산 강행으로 전력·원자재·자금 부족이 심각하기 때문에 민생과 직결된 환율·물가 불안이 지속되고 있다"며 "각종 동원과 상납금 부담으로 주민들 사이에서는 가혹한 동원으로 '피골이 상접한다, 부모·조부보다 형편이 없다'는 불만이 팽배하다"고 전했다.
yumi@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