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괜찮은 기량'은 실력입니다. 과거 한국 축구와 관련해 히딩크 열풍이 불었을 때 그가 보였다고 많은 이들이 말한 그런 류의 유능함이자 탁월함이면 더 낫겠습니다. '정정당당'은 타당성 있는 원칙과 소신입니다. 자기 철학과 통찰력이 우뚝해야 붙는 근육이어서 이 대목에서 점수를 많이들 잃습니다. 되잖은 일관성과 아집은 두부살일 뿐이지요. 이리 기웃 저리 기웃하면서 늘 줄타기하고 물타기 하고 얼버무리면 정정당당과 거리가 더 멀어지겠지요. 사사로운 이익은 더 챙길 수 있겠습니다만요. 다음으로 '최선을 다한다'. 이게 없다면 다 무슨 소용이겠습니까. 사전은 '온 정성과 힘'이라고 최선의 뜻을 풉니다. 이때도 정성과 힘이 트집과 억지에 집중되면 최선이 아니라 최악으로 여겨질 수 있음을 경계해야 합니다.
이것으로 끝일까요? 하나를 더 보태야 완벽할 것 같긴 합니다. 결과를 수용하는 승복입니다. 패배를 받아들이고 다음 경쟁을 준비하는 것이지요. 민주정(民主政)의 지속가능한 상생 조건입니다. 이렇게 하여 '졌잘싸' 평을 얻어야 미래가 있습니다. 반대라면 희망은 차갑게 식겠지요. 역사에서 얻은 유일한 교훈은 사람들이 역사로부터 아무것도 배우지 못한다는 것이라는 경구는 무섭기까지 합니다. 변주합니다. 이번 패배에서 얻은 유일한 교훈은 선수들이 지난 패배에서 아무것도 배우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이번에는 패배 자리에 선거를 놓습니다. [이번 선거에서 얻은 유일한 교훈은 사람들이 지난 선거에서 아무것도 배우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이 패러디, 과연 동의할 만한가요? 곧 있을 대통령선거가 답을 주겠노라고 벼르고 있네요. (서울=연합뉴스, 고형규 기자, uni@yna.co.kr)
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온라인)
2. 네이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