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과 즐거움을 동시에 추구하는 가치 소비의 확산으로 지난해 헬시플레저(Healthy-Pleasure), 웰에이징(Well-Aging)과 같은 건강 관련 트렌드를 반영한 제품의 개발·생산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축산물은 건강·친환경 중시 소비 확산에 따라 저당·저염·저지방 제품(21.3%↑), 고단백·저지방 부위 활용 제품(7.3%↑), 무항생제·동물복지(3년 평균 11.9%↑) 생산 실적의 꾸준한 증가가 두드러졌다. 최근 축산물에서도 저염·저당·저지방 중심의 '로우 푸드(Low Food)' 트렌드가 확대돼 건강을 중시하는 식단 관리 소비자층을 중심으로 관련 제품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했다는 분석이다. 아울러, 단백질 섭취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닭가슴살·돈앞다리살 등 저지방 고단백 부위를 활용한 제품 수요가 지속 증가하고 있으며, 도시락·햄 등 가정간편식(HMR)과 가공육으로도 확대되는 모양새다.
건강기능식품은 비타민·무기질 제품이 홍삼을 제치고 전체 1위 차지했다. 이는 이중제형(정제 + 액상 일체형 포장) 소비 확대, 비타민 및 무기질 제품의 수출실적 상승 등에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기능성별로는 혈행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제품과 기억력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제품의 매출액이 4년 연속 1, 2위에 올랐다. 또한 건강한 삶을 오래 유지하고자 하는 웰에이징(Well-Aging) 트렌드 확산에 따라 피부건강, 인지능력 향상 관련 제품의 매출액이 각각 전년 대비 32.7%, 106.7% 늘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