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국내 연구진이 산모가 김치를 섭취하면 유산균인 프로바이오틱스 영향으로 자손들의 대사 건강 문제가 개선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 결과,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어미의 수컷 자손에서 비만, 간 지방 축적, 혈중 지질 이상 등이 뚜렷하게 나타났고, 이들에게 WIKIM51을 6주간 보충 투여한 결과 ▲체중과 간 무게 감소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 개선 ▲간 지질 합성 억제 등 대사 기능이 유의미하게 향상됐다.
이번 연구는 임신 중 식습관이 자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태아프로그래밍(fetal programming)' 관점에서 접근했으며, 산모의 임신 중 영양 상태가 자손의 평생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김치 유래 유산균을 이용해 산전 환경에 따른 대사 질환 위험을 개선할 수 있는 치료법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이어 그는 "임신 중 여성의 건강관리가 자손의 평생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임산부 대상 맞춤형 유산균 개발 및 예방중심의 자손 건강 전략 마련에 연구의 초점을 두겠다"고 전했다.
한편 이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보건산업진흥원, 이화여자대학교의 연구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산학 협력으로는 ㈜팜스빌(Pharmsville)에서 김치 유래 균주를 제공받아 공동연구가 이뤄졌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