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스티브 박 교수 연구팀이 섬유 위에 전자회로를 직접 그려 넣는 혁신적인 방식을 통해 유연하면서도 내구성이 뛰어난 전자섬유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를 이용해 복잡한 제작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맞춤형 전투복을 제작할 수 있다.
전투원 개개인의 정밀한 움직임과 인체 데이터를 수집해 이를 바탕으로 맞춤형 훈련 모델을 제시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유연성을 가진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SBS) 고분자와 전도성을 부여하는 탄소나노튜브를 조합해 최대 102% 늘어나는 인장·굽힘 센서 잉크를 개발했다.
1만 차례의 반복적인 테스트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투원의 격렬한 움직임 속에서도 정확한 데이터를 지속해 얻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연구팀은 개발한 전자섬유를 어깨, 팔꿈치, 무릎 등 주요 관절 부위에 프린팅해 달리기, 팔 벌려 높이뛰기, 팔굽혀 펴기 등 다양한 인체의 다양한 움직임을 모니터링했다.
또 스마트 마스크를 활용해 호흡 패턴을 측정하거나, 장갑에 센서와 전극을 프린팅해 물체를 인식하고 복합적인 촉감 정보를 인지하는 등 응용 가능성도 시연했다.
연구 제1 저자인 박규순 육군 소령(신소재공학과 박사과정)은 "병과·직책별 전투의 유형에 따른 맞춤식 훈련을 제공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확보해 우리 장병들의 전투력을 향상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npj 플렉서블 일렉트로닉스'(npj Flexible Electronics) 지난달 27일 자로 실렸다.
jyoung@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