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전=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폐타이어를 고무나 나일론 섬유 원료로 쓰이는 고순도의 고리형 알켄으로 전환하는 데 성공했다고 26일 밝혔다.
기존 열분해나 물리적 분쇄 재활용 방식은 에너지 소모가 많고 선택성이 낮음에도, 생성한 탄화수소 혼합물 품질이 높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
홍순혁 교수 연구팀은 두 가지 촉매를 활용해 폐타이어를 유용한 화학물질로 바꾸는 방법을 개발했다.
첫 번째 촉매는 고무 분자 안의 결합 구조를 바꿔 분해가 잘되도록 돕고, 두 번째 촉매는 고리 모양의 화합물을 만들어내는 역할을 한다.
이 과정은 최대 92%의 높은 선택성과 82%의 수율을 낼 수 있다.
기존 열분해 방식과 달리 저온의 정밀 촉매 반응을 통해 고부가가치 화학 원료를 생산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홍순혁 교수는 "경제성을 높이기 위해 차세대 고효율 촉매 개발과 상용화를 위한 기반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켐'(Chem) 지난 18일 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jyoung@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