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7일 광주시 등에 따르면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달 25일 광주에서 '광주시민·전남도민 타운홀 미팅' 행사를 열고 장기 표류 중인 광주 군 공항 이전 문제 해결을 위해 범정부와 지자체가 참여하는 TF를 구성하기로 했다.
대통령실 직속 광주 군 공항 이전 TF는 광주시와 전남도, 무안군, 국방부, 국토교통부, 기획재정부 등 6자가 참여한다.
광주시와 전남도, 무안군 등 지자체는 지역민의 요구 사항 등을 정리하는 등 TF 참여를 위한 준비에 들어갔다.
3개 지자체 가운데 빠른 행보를 보인 광주시는 지난 12일 정례 조회에서 향후 로드맵을 제시했다.
광주시는 광주 군 공항 이전 TF에서 논의되기를 희망하는 6대 과제와 행위 주체를 정리하고 예비 이전 후보지 발표 일정도 자체 계획했다.
광주시는 비용 추계와 군 공항 이전에 따른 소음 측정 등 일련의 과정을 거치면 오는 12월 무안군을 예비이전 후보지로 발표할 것으로 내다봤다.
광주시의 계획이 알려지자 무안 지역 시민단체는 발끈하고 나섰다.
광주 전투비행장 무안이전반대 범군민대책위원회는 지난 4일 성명을 내어 "'광주 군 공항 이전 TF'가 구성되지 않은 상황에서 일방적인 이전 로드맵을 제시하는 것은 군민을 압박하는 행위로 개탄과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밝혔다. 대책위는 "강기정 광주시장은 경거망동 행태를 중단하라"며 강한 어조로 광주시를 비판했다.
김산 무안군수도 지난 3일 대통령실을 방문해 김용범 정책실장에게 군 공항 이전 국가사업으로 완전 전환, 공모방식 추진 등을 건의했다.
무안군 관계자는 "무안에 국제공항이 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군 공항 이전 후보지로 특정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대구 군 공항 이전 사례처럼 공모를 통해 후보지를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무안군의 군 공항 예비 후보지 공모 주장에 대해 광주시는 TF 구성 취지에 어긋난다며 난색을 보였다.
광주시 관계자는 "6자 TF에서 각자의 역할대로 움직인다면 예비 후보지를 발표할 수 있을 거라는 원론적인 입장을 말한 것"이라며 "무안군이 공모 방식을 주장할 수는 있지만, 그렇게 되면 무안군을 후보지로 가정하고 애로사항을 해결하는 취지로 구성된 TF 자체가 성립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무안군의 공모 입장을 수용할지는 TF를 주관하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결정할 문제"라면서 "이전에도 공항 입지 요건, 군 작전성 요건, 사업성을 고려해 후보지를 찾아본 결과 대상지가 거의 한정적이라 공모 방식은 의미가 없다"고 반박했다.
minu21@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