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이 보편화되면서 많은 물질들이 없어졌다. 종이신문을 펼쳐 읽던 풍경은 사라졌고, 책장을 넘기는 대신 태블릿 화면을 스와이프(swipe)한다. 사진기도 음악 플레이어도 모두 스마트폰 속으로 들어갔다. 신용카드도 마찬가지다. 지갑에서 넣고 뺄 필요 없이 이제는 탭(tap) 한 번이면 언제 어디서든 결제가 가능하다.
기술의 발전은 우리에게 편리함을 주지만, 한편으론 '디지털 피로감'을 안긴다. 그러자 물건 자체가 주는 오감과 아날로그 감성을 느끼려는 갈망이 커졌다. 뮤지션들은 새 음반을 비닐 레코드로도 발매하는데, 오히려 품귀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Leica, Nikon, Pentax 등 카메라 회사들은 필름 카메라를 계속 생산하거나 오히려 신제품을 내놓고 있다. 태블릿PC와 같은 디지털 기기에서도 사각거리는 종이 감성을 느낄 수 있는 보호필름도 인기다. 산업계는 온라인 대신 오프라인에 공간을 만들어 고객들이 제품을 직접 보고 만져볼 수 있게 한다.
|
일찍이 현대카드는 카드 플레이트 디자인과 물성에 주목하고 도발적 실험을 지속하고 있다. 최근엔 현대미술의 아이콘 톰 삭스(Tom Sachs)와 카드 플레이트에 '구멍(홀 디테일)'을 내는 실험적인 시도를 통해 신용카드 디자인을 예술의 경지까지 끌어올렸다. '현대카드 Tom Sachs Credit Card'다. 신용카드에 손가락을 넣고 돌리는 장난감 혹은 끈을 매달아 개성을 표현하는 액세서리라는 새로운 성질을 부여했다. 한편 플라스틱 외에 동(bronze)을 소재로 사용하거나 합판을 연상시키는 디자인을 선보이기도 했는데 동전이나 지폐와 같은 화폐를 상징하는 소재라는 후문이다.
센세이셔널한 시도에 대한민국에선 소비자의 열띤 호응이 이어졌다. 지금까지 유명 작품을 플레이트에 전사한 신용카드는 종종 있었지만 이번 톰 삭스 크레딧 카드처럼 카드 플레이트 자체를 예술 작품으로 만든 사례는 극히 드물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새롭고 파격적인 시도보다, 톰 삭스 크레딧 카드 또한 현대카드가 지난 20여년간 일관되게 지켜온 플레이트 디자인 철학을 기반으로 한다는 점에 더욱 주목하고 있다.
더욱이 이번 톰 삭스 크레딧 카드에서 동은 특유의 무게와 거친 질감이 카드에 색다른 물성을 부여하지만 디자인 구현이 쉽지 않은데, 현대카드는 동에 두랄루민을 결합해 구멍과 같은 파격적인 디자인을 구현해냈다. 플라스틱에 나무의 질감을 느낄 수 있는 가공을 추가해 마치 합판으로 만든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현대카드가 다양한 소재를 탐구하고 노하우를 축적해 왔기에 가능한 일이다.
지난 20여년간 현대카드는 고정관념을 깨는 도발적 카드 플레이트 디자인을 제시하며 대한민국 신용카드 산업의 트렌드를 이끌었다. 특히, 현대카드는 카드 디자인에 상품과 사용자의 정체성을 매력적으로 녹여내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좋은 디자인은 페르소나를 투영한다"는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의 철학, 이른바 '페르소나 매니지먼트'다.
현대카드는 2000년대 초 '투명 카드'와 일반 카드의 절반 크기인 '미니 카드'를 내놓으며 신용카드가 단순한 결제 수단이 아닌 취향을 보여주는 매개체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증명했다. 이후 2017년엔 카드 옆면에까지 색을 입힌 '컬러코어'를 2011년엔 직각에 가까운 모서리를 구현한 디자인을 선보였다. 이러한 디테일에 대한 집착은 신용카드가 지갑에 꽂혀 있을 때부터 정체성을 드러내야 한다는 철학에서 비롯됐다고 볼 수 있다. 이어 2017년엔 대중이 스마트폰 세로 화면에 익숙하다는 점에 착안해 '세로카드'를 만들었고, 하나의 카드에 여러가지 디자인을 만들어 고객이 취향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멀티 플레이트' 시스템도 2020년 이후 지속되고 있다.
|
카드 플레이트에 대한 현대카드의 디자인 철학은 역설적으로 신용카드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다. 현대카드는 신용카드를 단순한 결제 수단이 아닌 개인의 심미적·예술적 감성과 라이프스타일을 드러내는 아이템으로 재구성한다. 나아가 현대카드는 톰 삭스 크레딧 카드를 통해 신용카드가 하나의 예술작품이 될 수 있음을 증명했다. 사용자로 하여금 지갑에서 신용카드를 꺼내는 순간을 즐기게 만드는 것을 넘어, 카드 플레이트 자체를 소장하고 싶게 한다.
여기에 현대카드는 '카드 디자인을 구매한다'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톰 삭스 크레딧 카드는 별도의 신용카드 상품이 아닌 스페셜 디자인 플레이트, 다시 말해 디자인 자체다. 카드를 신규 발급받으면서 추가 신청하거나, 이미 해당 카드를 사용하고 있다면 추가 신청해 기본 플레이트와 스페셜 디자인 플레이트를 동시에 보유할 수 있다. 업계에선 "곧 카드 플레이트도 스마트폰 케이스처럼 기분 따라 취향 따라 바꾸는 새로운 트렌드가 열릴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