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 차원에서 '주4.5일제' 도입을 추진 중인 가운데, 최근 IT업계를 중심으로 주 4일제 도입 등 근로시간 단축이 확산되고 있다.
과학 저널 네이처 인간 행동(Nature Human Behaviour)에 실린 미국 보스턴대 줄리엣 쇼어와 원 판 교수팀의 연구 결과다.
연구팀은 미국·호주 등 6개국 140여개 업체 2800여명을 대상으로 한 6개월 간의 주 4일제 실험에서 미국, 영국,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아일랜드 등 6개국 141개 조직, 2896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6개월간 임금 감소 없는 주 4일제를 시행하면서 번아웃, 직무만족도, 정신·신체 건강 지표 등을 측정, 그 효과를 조사했다. 또 이를 기존 근무제를 시행하는 12개 기업 직원 285명과 비교했다.
연구팀은 주 4일 근무제의 직무 만족도 향상, 번아웃 감소, 정신 건강 개선 등의 긍정적 효과는 수면 문제와 피로 수준 감소, 개인 업무 능력 향상 등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직무 만족도 향상에는 업무 수행 능력 향상(19.6%)과 피로도 감소(8.4%), 수면 문제 감소(7.8%)가 기여했고, 번아웃 감소에는 피로도 감소(48.1%)와 업무 수행 능력 향상(16.6%)이, 정신 건강 개선에는 피로도 감소(24.3%)와 수면 문제 감소(10.9%), 업무 수행 능력 향상(10.5%) 등이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러한 결과는 임금 감소 없는 근무시간 축소가 다수 노동자에게 광범위한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며 이는 근로자 복지와 생산성을 동시에 향상할 수 있는 현실적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영국의 '주 4일 근무 재단'이 지난 6개월간 17개 기업·단체에서 실시한 주 4일제 시범 운영 결과, 기업은 매출이 늘고, 직원들은 번아웃 증상이 줄었다는 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국내에서도 대형병원에서 근무시간 단축으로 간호사들의 만족도가 크게 향상됐고, 이직·사직 의향 역시 감소해 조직 안정성이 강화됐다는 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