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글이 이용자의 복잡한 질문에 대해 주제별로 그 결과를 제공하는 새로운 인공지능(AI) 기능을 선보였다.
25일(현지시간) 정보기술(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 등에 따르면 구글은 지난 24일 검색 결과를 체계적으로 정리해주는 AI 기반의 새로운 기능인 '웹가이드'(Web Guide)를 공개했다.
이 기능은 구글이 자사의 검색 서비스에서 새로운 기능이나 실험적 기술을 사용자들에게 먼저 테스트해볼 수 있도록 제공하는 베타 프로그램인 '서치 랩스'(Search Labs)의 하나로, 질문에 대해 특정 주제와 관련된 페이지들을 그룹으로 묶어 검색 결과를 정리해준다.
웹가이드는 AI 모드에서 사용하는 '팬아웃'(Fan-out)' 기능을 적용해 관련성 높은 결과를 위에서 아래로 나열하는 기존과 달리 여러 주제나 카테고리로 나눠 보여준다.
구글은 웹가이드는 자사의 AI 모델 제미나이를 활용해 검색어를 더 깊이 이해하고 기존의 구글 검색으로는 놓칠 수 있었던 관련 페이지들을 찾아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이용자가 '일본에서 혼자 여행하는 방법'과 같이 폭넓은 질문을 하면 웹가이드는 종합 가이드와 함께 여행 안전 팁, 개인 블로그 후기 등 다양한 주제별로 검색 결과를 분류해 제공한다.
또 '가족이 여러 시간대에 흩어져 살고 있다. 떨어져 있어도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도구는?'과 같은 길고 복잡한 질문도 단순히 긴 문장 그대로 처리하지 않고 질문 속 의미를 이해하고 이를 정리해 준다고 구글은 설명했다.
이 기능은 테스트에 참여한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처음에는 검색 결과 페이지의 '웹'(Web) 탭에서만 적용된다.
구글은 향후 이 테스트 기능을 검색의 다른 영역으로도 확대해 검색 결과 페이지의 '전체(All)' 탭에도 적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taejong75@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