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여름철 강이나 바다에서 즐기는 수상 스포츠는 사고와 부상의 위험도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
부평힘찬병원 정형외과 김태섭 원장은 "물 위에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특정 자세는 힘을 주게 되는데, 긴장 상태에서 순간적인 충격이 가해지면 근육이나 관절에 부상을 입기 쉽다"며 "안전하게 즐기기 위해서는 종목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자신의 수준에 맞는 운동을 선택해 올바른 자세 유지가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수상 스포츠, 강한 충격과 압력 전해져…관절 손상 가능성
인기 있는 서핑은 엎드린 채 패들링(노 젓기) 하며, 어깨 근육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어깨에 피로 누적과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운동 후 생긴 어깨 통증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다 힘줄이 끊어지는 회전근개 파열로 발전할 수도 있기 때문에 수상 레저 도중에 어깨 통증이 생긴다면 무리한 동작은 삼가고 휴식을 취해야 한다.
특히 물 위에서 무릎 관절에 비틀림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 십자인대나 반월상연골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중심을 잃고 주저앉을 때나 무릎이 약간 구부러진 채 과도하게 회전하면서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반월상연골은 무릎 위·아래 뼈 사이에 있는 섬유질 연골로, 충격을 흡수하고 무릎 관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반월상연골이 손상되면 무릎 통증, 부종, 무릎이 잠기는 듯한 느낌이 생긴다. 무릎 부상은 처음 손상을 입었을 때 정확하게 진단하고 초기에 치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바른 자세와 스트레칭 중요…통증·부기 심해지면 검진 필요
운동 상해의 가장 흔한 원인은 연습 소홀이다. 휴가철 짧은 일일 강습 등을 통해 갑자기 너무 많은 것을 배워 자신의 기량보다 무리해 타는 것이 큰 문제다. 우선 상해 예방을 위해 복장과 장비를 잘 갖추는 것도 중요하다. 또 수상스포츠 안전에 대한 교육을 받고, 지키는 것도 필요하다. 무엇보다 강도 높은 전신 운동의 부상을 예방하려면 사전 준비운동이 필수다. 주요 관절 부위를 중심으로 충분한 스트레칭과 이완 운동을 해 관절과 근육의 유연성을 확보해야 한다.
수상스키나 웨이크보드를 즐길 때는 무릎을 살짝 굽혀 기마자세를 취하고 상체는 정면을 응시하는 자세가 중요하다. 팔과 어깨의 힘보다는 하체와 코어 근육의 힘으로 버티는 것이 부상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착지할 때는 무릎을 충분히 굽혀 충격을 분산시키고, 넘어질 때는 턱을 당기고 몸을 웅크려 물과의 충돌 충격을 최소화해야 한다.
서핑의 경우, 어깨 스트레칭과 회전근개 강화 운동을 미리 해두는 것이 좋다. 또한 보드 위에서 일어설 때는 복부 힘과 하체로 중심을 잡는 연습을 통해 허리에 부담을 덜어줘야 한다. 자신의 실력에 맞는 파도를 선택하고, 주변 서퍼들과 간격을 유지해 충돌 사고를 예방해야 한다.
만약 관절 부위에 부상이 발생했다면 응급처치가 필요하다. 부상 부위를 움직이지 않고 충분히 휴식하며 15~20분간 얼음주머니 등으로 냉찜질을 해 통증과 부기를 가라앉힌다. 붕대나 압박 밴드로 부상 부위를 가볍게 압박해 부종을 막는다.
부평힘찬병원 정형외과 김태섭 원장은 "수일 이내에 통증이 가라앉지 않거나, 오히려 심해지는 경우에는 단순 근육통이 아닐 수 있다"며 "통증을 방치하면 만성 통증이나 기능 장애로 이어질 수 있어 초기 대응이 중요한데, 부상 부위가 붓고 열감이 느껴지면 냉찜질로 대처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