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엄지손가락 긴 사람, '그것'도 컸다…수백만 년 동안 함께 진화

기사입력 2025-08-27 12:16


엄지손가락 긴 사람, '그것'도 컸다…수백만 년 동안 함께 진화
자료사진 출처=픽사베이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엄지손가락이 유난히 길면, 똑똑한 사람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레딩대학교·더럼대학교 공동 연구진은 엄지손가락 길이와 뇌 크기 사이에 뚜렷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 결과를 네이처 포트폴리오(Nature Portfolio)에서 발행하는 'Communications Biology'에 게재했다.

연구진은 인간을 비롯해 침팬지, 고릴라, 원숭이 등을 포함한 95종의 영장류를 분석했다. 멸종된 인류 종과 다양한 고대 영장류도 연구에 포함됐다.

연구 결과, 모든 종에서 엄지가 길수록 뇌도 더 컸다.

"이는 엄지와 뇌가 수백만 년에 걸친 진화 과정에서 함께 발달해왔을 가능성이 있다"고 연구진은 제시했다.

영장류가 물건을 집고 다루는 능력을 발전시키면서, 이를 처리하고 활용하기 위해 뇌 역시 커졌다는 설명이다.

연구진은 "우리 조상들이 물체를 집고 조작하는 능력이 향상되면서, 그 기술을 처리할 수 있도록 뇌가 성장해야 했다"면서 "이러한 능력은 수백만 년에 걸친 뇌 진화를 통해 정교하게 다듬어졌다"고 전했다.

또한 현대 인류와 멸종된 인류 조상(네안데르탈인,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등)들을 포함하는 '호미닌(hominin)' 그룹은 다른 영장류보다 엄지손가락이 훨씬 길었다. 인간의 뇌 역시 비인간 영장류보다 훨씬 크다.


흥미로운 점은 엄지 길이와 함께 성장하는 뇌 부위가 기존 예상과 달랐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운동과 협응에 깊이 관여하는 소뇌(cerebellum)와의 연관성을 기대했지만, 실제로는 인간 뇌의 절반을 차지하는 복잡한 층 구조의 신피질(neocortex)과 관련이 있었다. 신피질은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의 뇌에서 가장 최근에 진화한 대뇌피질의 부분으로, 감각 정보를 처리하고 인지 및 의식을 담당하는 영역이다. 전두엽·두정엽·측두엽·후두엽 등 4개 부분으로 나뉘며 특히 의식적 사고, 감각 지각, 언어, 공간 추론, 운동 명령 생성 등 복잡한 기능을 수행한다.

연구진은 이번 결과에 대해 "영장류 전체에서 손의 정교한 움직임과 뇌 진화가 연결되어 있다는 최초의 직접적인 증거를 제시한 성과"라고 강조했다.

다만 연구진은 "엄지 길이만으로 영장류의 다양한 조작 행동과 능력의 복잡성을 완전히 설명할 수는 없다"며 "엄지 길이는 일반적인 통찰을 제공할 수 있을 뿐"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뇌 크기가 반드시 높은 지능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며 "큰 뇌는 행동, 인지, 운동 제어 등 다양한 요소를 담당하는 여러 뇌 영역의 증가를 의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