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순천향대학교 부속 천안병원 심세훈 교수팀(정신건강의학과)이 최근 사회적 문제로 여겨지는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 행동에 대한 심리학적 요인과 뇌신경생리학적인 요인 간의 연관성을 새롭게 규명했다.
연구결과 자해 청소년은 특정 뇌 전극(nogo P3)의 뇌파 진폭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자해를 억제하기 위한 조절력이 손상되고, 주의 집중력이 저하되는 것을 시사한다.
심세훈 교수는 "뇌 전극(nogo P3)의 이상은 심리학적으로 우울 및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연관이 깊다"면서, "심리적 특성에 더해 뇌 우측 상부에 위치한 전두엽이랑에서 뇌 활성의 감소가 나타나 충동을 억제하지 못하고, 자해로 이어지는 것이 핵심이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지역대학 우수과학자 지원사업으로 수행됐으며, '비자살적 자해가 있는 청소년의 전기신경 생리학적 특징'을 주제로 국제학술지 '정신의학 최신연구(Frontiers in Psychiatry)'에 최근 게재됐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