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삭센다·위고비 5년간 총 111만 6694건 처방…이상사례 보고 1708건"

최종수정 2025-09-02 08:37

"삭센다·위고비 5년간 총 111만 6694건 처방…이상사례 보고 170…
※삭센다는 2022년~2025년 3월, 위고비는 2024년 10월~2025년 3월 기준
자료=식품의약품안전처(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서미화 의원실 재가공

최근 비만치료제 오남용이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가운데, 일론 머스크, 킴 카다시안, 빠니보틀 등 국내외 유명인들이 사용하며 선풍적인 인기를 끈 '글루카곤유사펩타이드-1'(GLP-1) 계열 비만치료제 삭센다·위고비가 최근 5년간 총 111만 6694건 처방된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서미화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을 통해 확인한 자료에 따르면, 2020년 1월부터 2025년 6월까지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DUR) 시스템에서 집계된 처방 건수는 삭센다 72만 1310건, 위고비 39만 5384건으로 집계됐다.

성별로 보면 여성이 71.5%로 남성보다 훨씬 많았고, 연령대별로는 30~40대가 전체의 약 60%를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서울(40.2%)과 경기(23.5%) 등 수도권에 집중됐다. 삭센다는 2018년 3월, 위고비는 2024년 10월 국내 시판을 시작했으며, 유명인들의 다이어트 성공 사례가 알려지면서 일반인 사이에서도 급격히 수요가 늘어났다.

문제는 GLP-1 계열 비만치료제 주사제는 BMI 30kg/㎡ 이상인 성인 비만환자 또는 BMI가 27kg/㎡ 이상 30kg/㎡ 미만이면서 고혈압 등 1개 이상의 체중 관련 동반 질환이 있는 성인 과체중 환자에게 처방되는 전문의약품임에도, 정상체중자나 저체중자에게도 미용 목적으로 처방되는 사례가 적지 않다는 점이다. 특히 BMI 검증 절차가 허술하다는 지적이다.

이상사례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자료에 따르면, 2022년부터 2025년 3월까지 보고된 이상사례는 총 1708건(삭센다 1565건, 위고비 143건)이었다. 주요 증상은 ▲구역(404건), ▲구토(168건), ▲두통(161건), ▲주사 부위 소양증(149건), ▲주사 부위 발진(142건), ▲설사(15건), ▲소화불량(9건) 등으로 나타났다.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명확히 입증되지 않았지만, 복용에 신중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서미화 의원은 "최근 SNS와 미디어를 중심으로 '위고비 다이어트'가 유행처럼 번지고 있지만, 비만환자가 아닌 사람이 미용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라고 지적하고, "비급여 전문의약품이라 하더라도 BMI 검증을 철저히 하고, 불법·부적절한 처방을 막기 위한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도 비만에 해당되는 환자의 경우에만 의료 전문가의 처방에 따라 허가된 용법대로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해당 비만치료제를 허가 범위 내로 사용해도 위장관계 이상반응(오심, 구토, 설사, 변비 등)과 주사부위 반응(발진, 통증, 부기 등)이 흔하게 나타나고, 과민반응, 저혈당증, 급성췌장염, 담석증, 체액감소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와 있다.

또한, 일부 의약품은 갑상선 수질암 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투여 금기이므로 반드시 전문가와 상의하고, 당뇨병(제2형) 환자에서 저혈당·망막병증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관련 병력이 있는 환자는 특히 신중히 투여해야 한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