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일교차가 크고 건조한 가을로 접어들고 있다. 본격적인 가을을 앞두고 등산을 계획하는 사람도 많아지는데, 적절한 준비없이 산행을 하면, 안전사고와 응급질환 위험도 함께 높아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가정의학과 이규배 교수는 "새벽이나 고지대는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고 혈관이 수축해 체온조절이 어려울 수 있으며, 심장에도 부담이 커질 수 있다"며 "특히 65세 이상 노인환자의 경우 체온조절능력이 저하된 경우가 있을 수 있어서 급작스런 온도 변화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심혈관 질환 병력 및 흡연력이 있는 분은 낮은 강도의 짧은 코스를 선택하고, 혼자보다는 일행과 함께 이동하길 권한다"고 말했다.
등산 중에 가슴을 조이는 통증이 5분 이상 지속되거나, 평소와 다른 극심한 두통, 시야가 흐려지거나 식은땀과 함께 어지럼증을 느끼는 경우, 또 갑작스러운 한쪽 팔과 다리에 힘이 빠지는 느낌이 든다면 즉시 의학적인 조치가 필요한 경우일 수 있다.
이어 "기저질환이 없더라도 평소 충분한 운동을 하지 않았던 경우에는, 등산 중에 심폐기능과 근골격계에 더 큰 부담을 줄 수 있다"고 설명하며 "자신의 체력과 건강상태를 잘 파악하고 그에 맞는 강도와 코스를 선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등산 중, 수분 보충을 위해서는 물은 조금씩 자주 마시는 것이 좋다. 갈증을 느낄 때는 이미 탈수 초기가 시작된 상태일 수 있기 때문이다. 카페인과 알코올은 이뇨작용을 촉진해 탈수를 악화시키고 균형감각도 떨어뜨릴 수 있어 산행 전후로는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에서 내려올 때는 체력 소모와 관절 충격이 더 크기 때문에 보행 스틱을 이용해 하중을 분산시키는 것도 좋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