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열심히 벌어도 통장 잔고가 쉽게 줄어드는 이유는 멀리 있지 않다. 매일 무심코 반복하는 작은 지출과 습관이 돈이 새는 주요 원인이
출근길 카페 라떼나 오후 아메리카노 한 잔은 작아 보이지만, 한 달로 계산하면 상당한 금액이 된다. 예를 들어, 하루 5,000원 커피를 주 5일 마시면 한 달에 10만 원이 넘는다. 집에서 원두나 드립백으로 커피를 내려 마시자. 재사용 가능한 텀블러를 사용하면 카페 할인 혜택도 받고 환경까지 지킬 수 있다. 커피 소비를 주 2~3회로 줄이면 저축이 눈에 띄게 늘어난다.
구독 서비스 방치
할인이라고 충동구매
세일 광고나 한정판 마케팅에 끌려 필요 없는 물건을 사는 것은 지출을 늘리는 주범이다. '지금 사지 않으면 손해'라는 심리에 휘둘리기 쉽다. 쇼핑 전 필요한 물건 목록을 작성하고, 구매 전 일정 시간동안 기다리는 규칙을 적용하자. 정말 필요한지, 어디에 사용할지 고민하면 충동구매가 줄어든다. 온라인 장바구니에 담아두고 하루 뒤 재검토하면 불필요한 소비를 막을 수 있다.
소액 결제 습관
앱 내 소액 결제, 편의점 간식, 배달 커피 등 작은 금액의 지출은 가볍게 느껴지지만 쌓이면 큰 부담이 된다. 예를 들어, 하루 3,000원 간식을 주 5일 사면 한 달에 6만 원이 넘는다. 주간 지출 내역을 가계부 앱으로 기록해 소비 패턴을 파악하자. 간식은 집에서 과일이나 견과류를 소분해 준비하고, 앱 결제는 비밀번호나 제한 설정으로 관리하자. 소액 소비를 줄이면 저축 여력이 생긴다.
잦은 택시와 배달 이용
편리함 때문에 자주 이용하는 택시는 교통비를 크게 늘린다. 한 번 택시비 1만 원이 주 3회면 한 달에 12만 원이 추가된다. 대중교통이나 자전거를 활용하고, 시간 여유를 두고 10~15분 일찍 나가는 습관을 들이자. 배달 음식도 주 2회 이상 이용하면 외식비가 급증한다. 간단한 밀키트나 집밥 레시피로 요리 시간을 단축하고, 주 1회 외식으로 제한하면 저축이 늘어난다.
계획 없는 장보기
장보기를 계획 없이 하면 불필요한 식재료나 간식을 사게 된다. 냉장고에 쌓인 채소가 상하거나 과다 구매로 낭비가 생긴다. 주 1회 장보기 전에 필요한 식재료 목록을 작성하고, 식단 계획을 세우자. 필요한 만큼 소량씩 구매하면 신선도를 유지하며 낭비를 줄인다. 할인 쿠폰이나 적립 혜택을 활용하면 추가 절약도 가능하다.
돈이 새는 구멍은 큰 지출이 아니라 일상 속 사소한 습관에서 비롯된다. 하루 한 가지씩 소비 습관을 바꾸면 매달 남는 돈이 늘어날 수 있다. 지금 나의 작은 소비를 점검하고 관리해 보는 것은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