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세탁 후 냄새, 섬유유연제보다 중요한 건 따로 있다

기사입력 2025-09-24 15:17


세탁 후 냄새, 섬유유연제보다 중요한 건 따로 있다
사진=챗GPT

빨래한 옷에서 나는 꿉꿉한 냄새는 누구나 한 번쯤 경험해봤을 것이다.

섬유유연제나 향기 좋은 세제를 사용해도 냄새가 사라지지 않는 경우, 문제는 세탁 환경과 습관에 있다. 작은 점검과 변화로 쾌적한 세탁 환경을 만들어보자.

세탁 후 바로 꺼내지 않으면 냄새 발생

세탁이 끝난 후 옷을 세탁기 안에 오래 두면 습기와 세균이 번식해 냄새가 생긴다. 1~2시간 방치만으로도 옷에 꿉꿉한 냄새가 배기 쉽다. 세탁 종료 알림을 설정하거나, 세탁이 끝나면 즉시 옷을 꺼내 건조대나 건조기에 넣자. 특히 드럼 세탁기는 문을 열어 내부를 건조시키는 습관이 필요하다. 세탁 타이밍을 일정에 맞춰 관리하면 냄새를 예방할 수 있다.

세탁기 통 청소 주기 단축

세탁기 내부는 곰팡이와 세균의 온상이 될 수 있다. 겉으로는 깨끗해 보여도 세제 찌꺼기, 먼지, 곰팡이가 쌓여 냄새를 유발한다. 최소 한 달에 한 번 전용 세탁조 클리너나 베이킹소다, 식초를 사용해 통 세척을 하자. 드럼 세탁기의 경우 문 고무 패킹과 필터를 주 1회 젖은 천으로 닦고 완전히 건조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정기적인 세탁기 관리는 냄새 문제를 절반 이상 해결한다.

세탁물 양 조절

세탁물을 세탁기 용량 이상으로 넣으면 세제가 골고루 퍼지지 않고 헹굼이 제대로 안 된다. 이로 인해 잔여 세제와 노폐물이 옷에 남아 냄새를 만든다. 세탁기 용량의 70~80%만 채우고, 옷을 소재별로 분류해 세탁하자. 예를 들어, 수건과 옷을 따로 세탁하면 세제와 물이 더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적정량 세탁은 옷의 청결과 냄새 예방에 큰 도움이 된다.


적절한 세제 사용과 헹굼 관리

세제를 과도하게 사용하면 옷에 잔여물이 남아 꿉꿉한 냄새를 유발한다. 특히 수건이나 두꺼운 옷은 흡수력이 높아 세제가 쉽게 쌓인다. 세제 포장에 적힌 권장량을 준수하고, 헹굼 횟수를 2~3회로 설정해 세제를 완전히 제거하자. 저자극 액체 세제를 사용하면 잔여물이 적어 냄새 예방에 효과적이다. 헹굼 후 옷에서 비누 냄새가 나지 않도록 점검하는 습관을 들이자.

빨래 양 많을 때 통풍 주의

빨래를 건조대에 촘촘히 널면 공기 흐름이 막혀 냄새가 생긴다. 옷 사이에 5~10cm 간격을 두고 널어 통풍을 확보하자. 실내 건조 시 제습기나 선풍기를 사용해 공기를 순환시키면 건조 시간이 단축된다. 창문을 열거나 환풍기를 작동시켜 습기를 줄이는 것도 중요하다. 통풍이 잘 되는 환경은 냄새뿐 아니라 곰팡이 예방에도 효과적이다.

햇볕 건조 적극 활용

햇볕은 자연적인 살균과 냄새 제거 효과를 제공한다. 자외선은 세균과 곰팡이를 없애고 옷을 상쾌하게 만든다. 날씨가 좋은 날에는 실내 건조 대신 햇볕에 옷을 널자. 햇볕 건조 후 옷을 만져 완전히 마른 상태인지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자.

옷 보관 전 완전 건조 확인

옷이 덜 마른 상태로 옷장에 보관되면 습기로 인해 냄새와 곰팡이가 생긴다. 건조기 사용 후에도 옷을 손으로 만져 완전히 마른지 확인하자. 옷장은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두고, 방습제나 숯을 넣어 습기를 관리하자. 계절 옷은 밀폐 용기에 보관하면 냄새와 벌레를 예방할 수 있다. 옷을 접기 전 바람이 잘 통하도록 잠시 두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빨래 냄새는 섬유유연제나 세제 선택보다 세탁과 건조 습관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다. 세탁기 청소, 적정량 세탁, 통풍과 건조 관리로 꿉꿉함을 없애자. 작은 습관 변화가 상쾌한 옷과 쾌적한 일상을 만든다. 오늘 세탁을 마쳤다면, 꺼내는 순간부터 하나씩 점검하며 깨끗한 빨래 환경을 유지해보자.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