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50대 주부 A씨는 최근 누웠다 일어날 때, 고개를 돌릴 때, 숙일 때 한동안 빙빙 도는 증상 때문에 병원을 찾았다. 검사 결과, '이석증'으로 밝혀졌다.
◇여성 환자, 남성보다 약 2.3배 많아
이석은 귀 속에 수만 개 이상 존재하며, 우리 몸이 앞뒤나 위아래로 움직이거나 기울어질 때 이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석 덩어리가 원래 있던 위치에서 떨어져 반고리관으로 들어가면 이석증이 발생한다. 이때 특정 방향으로 몸이나 머리를 움직이면 세상이 빙글빙글 도는 극심한 어지럼증을 느끼게 된다.
◇자연 치유 1개월 동안 어지럼증·구토 겪어
반고리관에 들어간 이석이 저절로 빠져나오거나 녹아 없어질 수도 있다. 하지만 자연 치유에는 약 한 달 정도가 걸린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그동안 어지럼증과 구토로 일상생활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이석증으로 진단되면 자연 치유를 기다리기보다는 적극적으로 치료를 받는 것이 권장된다.
이석이 제자리로 돌아가려면 미로 같은 귀의 구조를 통과해야 하는데, 이를 돕기 위해 이석치환술이라는 물리치료를 시행한다. 이석치환술 한 번으로 완치되는 경우도 있지만, 며칠에 걸쳐 반복적으로 시행해야 완전히 회복되는 경우도 있다. 다만 시술 후에도 떨어진 이석의 잔여물 때문에 어지럼증이 일정 기간 더 이어질 수도 있다. 이때는 진정제나 진토제를 사용해 어지럼과 구토를 완화할 수 있으나, 약물은 증상 완화용일 뿐 원인을 해결하지는 못한다.
서재현 교수는 "이석증 자체는 치료가 어렵지는 않지만 재발할 수 있다. 또한, 어지럼증이 반복되거나 평소보다 오래 지속될 때, 또는 신경마비 같은 다른 이상 증상이 동반되면 단순 이석증이 아닐 가능성이 있으므로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 이 경우 뇌졸중, 메니에르병, 전정신경염 등 더 심각한 질환을 감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이석은 하나의 돌이 아니라 수백 개의 작은 입자로 이루어져 있어 다시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특히 골밀도가 낮아 귀 안에서 이석이 안정적으로 자리 잡지 못하는 경우 증상이 반복될 수 있다. 재발을 예방하려면 칼슘과 비타민 D를 충분히 섭취하고 햇빛을 쬐는 야외 활동을 꾸준히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