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서울대병원 소아마취통증의학과 이지현·지상환 교수 연구팀이 생후 2세 미만 소아를 대상으로 진행한 대규모 임상연구에서 짧은 전신마취가 아이들의 지능이나 행동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한 전신마취 중 보조 약제를 병용해 흡입마취제 농도를 약 30% 줄였을 때도 인지 능력과 정서·행동 발달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번 연구는 부모들이 가장 우려하는 '소아 전신마취의 안전성'에 과학적 근거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균형마취란 하나의 약제 대신 여러 약물을 함께 사용해 마취 효과를 유지하면서 부작용을 줄이는 방법을 말한다.
이번 연구는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생후 2세 미만 단회 수술 환자 400명을 대상으로 시행된 전향적·이중맹검·무작위 임상시험이다. 약 2시간 이내의 짧은 수술만을 대상으로 했으며, 참여 환자는 무작위로 두 그룹에 배정됐다. 한 그룹은 흡입마취제(세보플루란)만 사용한 '단독군', 다른 그룹은 같은 세보플루란에 보조 약제(덱스메데토미딘, 레미펜타닐)를 함께 투여한 '병용군'이었다.
|
그러나 지능지수(IQ), 행동·정서 발달, 언어 능력 등 모든 평가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P>0.05). 즉, 짧은 단회 수술에서 흡입마취제를 줄이면서 보조 약제를 함께 사용하는 마취 방식이 아이들의 단기간의 인지나 정서 발달에 임상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가져다주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전 해외 주요 연구들인 PANDA(Pediatric Anesthesia Neurodevelopment Assessment), MASK(Mayo Anesthesia Safety in Kids), GAS(General Anaesthesia compared to Spinal anaesthesia)는 주로 '마취 유무'나 '전신마취와 척추마취의 차이'에 초점을 맞췄다. 반면 이번 연구는 전신마취가 필요한 소아에서 실제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는 흡입마취제의 농도를 조절하는 '균형 마취'의 안전성을 직접 검증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이번 연구 결과는 향후 소아 전신마취 시 약제 선택 및 용량 조절에 참고할 수 있는 근거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상환 교수(소아마취통증의학과)는 "이번 결과는 만 28~30개월 시점의 중간 분석으로, 현재까지는 짧은 전신마취가 아이들의 인지나 정서 발달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며 "향후 만 5세 시점의 추적 평가를 통해 장기적인 안전성을 최종적으로 검증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지현 교수(소아마취통증의학과)는 "이번 연구는 실제 임상 환경에서 단회 전신마취의 단기 신경발달 영향을 객관적으로 검증한 중요한 결과로, 현재 널리 사용되는 흡입마취제가 비교적 안전하다는 점을 보여준다"며 "이번 결과가 부모와 의료진의 불안을 덜어주고, 향후 소아마취의 안전 가이드라인 마련에도 기여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Anesthesiology'(IF 9.1) 최신호에 게재됐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