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대한당뇨병학회와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지난 22일 서울 종로구 HJ비즈니스센터에서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연구 결과를 공개했다. 임신 당뇨병은 전에 당뇨가 없던 사람이 임신 중에 처음 당뇨를 진단받은 경우를 뜻한다.
이용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가 2013∼2023년 청구된 국민건강보험공단 산모 건강검진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임신 당뇨병 유병률은 2013년 7.6%에서 2023년 12.4%로 늘었다.
이 교수는 이러한 증가 추세의 주원인이 출산 연령 고령화라고 진단했다. 연구에 따르면 해당 기간 전체 산모의 평균 출산 연령은 31.8세에서 33.5세로 증가했으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임신 당뇨 유병률도 증가했다. 25∼29세 산모의 임신 당뇨병 유병률은 8.6%, 30∼34세는 10.7%였지만 40세 이상의 유병률은 18.6%였다.
임신 당뇨에 영향을 주는 또 다른 요인은 체질량지수(BMI)로서, BMI가 높을수록 유병률도 높았다. BMI 30 이상인 비만 산모는 23.5%에 달했다.
한편 류현미 분당차병원 교수팀 연구에 따르면 영양소 섭취와 임신 당뇨 위험도도 상관관계가 있었다. 류 교수가 국내 임신부 2천227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임신초기에 영양 섭취가 가장 불균형했던 그룹이 가장 양호했던 그룹보다 임신 당뇨 위험이 1.82배 높았다.
특히 비타민B6, 나이아신, 칼슘이 부족하면 임신성 당뇨 위험도가 유의미하게 증가했다.
곽수헌 서울대병원 교수는 "임신 당뇨의 문제는 산모에게도 생기지만 자녀에게도 생긴다"며 "출산 후 산모와 자녀의 비만·2형당뇨병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을 뿐 아니라 거대아 출산·어깨걸림 등 주산기 합병증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서울대병원·숭실대 공동연구팀이 2009∼2018년 건보공단 자료를 바탕으로 국내 350만명의 데이터를 추적 분석한 결과, 임신 당뇨병 산모의 자녀는 당뇨가 없는 산모의 자녀보다 성장 후 2형 당뇨 발생 위험이 약 1.5배 컸다.
임신 중 인슐린 치료가 필요했던 경우에는 자녀의 2형 당뇨 위험도가 약 4.6배까지 높아졌다.
이러한 임신 당뇨 증가세와 위험 가능성에 국립보건연구원은 지난해부터 전국 9개 병원과 협력해 임신 당뇨 코호트 연구를 시작했다. 올해부터는 산모뿐 아니라 배우자, 자녀까지 포함하는 가계 코호트로 연구를 확장해 진행하고 있다.
임주현 국립보건연구원 내분비·신장질환연구과장은 "세대를 넘어 당뇨 위험이 대물림될 수 있다는 데 심각성이 있다"며 "위험군을 조기에 발견해 2형 당뇨 위험이 큰 사람들의 당뇨 이행을 예방하자는 것이 코호트 구축의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연구 책임자인 류현미 교수는 "확대 연구까지 진행된다면 한국인 임산부의 정밀의료, 개인 맞춤형 (당뇨) 예방 관리가 실현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고 우리나라의 산모 고령화 상황에서도 조금 더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바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fat@yna.co.kr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