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특구=ADHD 치료 특구'?…강남·서초·분당 치료제 처방 '톱3'

기사입력 2025-11-03 11:02


'교육특구=ADHD 치료 특구'?…강남·서초·분당 치료제 처방 '톱3'
이미지=픽사베이

서울 강남과 서초, 성남 분당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주요 치료제인 메틸페니데이트 처방이 많은 상위 3개 지역으로 집계됐다.

메틸페니데이트는 의사의 처방 하에 질환 치료를 목적으로 사용돼야 하는 전문의약품이지만, '공부 잘하게 해주는 약', '집중력 높여주는 약' 등으로 잘못 알려져 오남용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최근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발표한 '건강보험 빅데이터 기반 급여 적정성 분석 및 정책적 함의' 주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메틸페니데이트 처방 건수는 258만7920건으로, 2007년 48만8372건 대비 5.3배 규모로 늘었다. 실제 처방받은 인원은 2007년 8만2221명에서 작년 32만6748명으로 4배로 증가했다. 2007년부터 지난해까지 처방 건수와 실인원을 보면 연령별로는 10대에서, 소득 수준별로는 5분위(고소득)에서 가장 많았다.

교육열이 높다고 알려진 지역에서 처방이 집중되는 경향도 확인됐다.

지난해 기준 시군구별 지역별 처방을 살펴보면, 서울 강남, 서울 서초, 성남 분당, 서울 송파, 서울 용산이 상위 1∼5위를 차지했다. 대구 수성구(18위)가 수도권 외 지역으로는 유일하게 상위 20위권에 포함됐다.

서울시 구별로는 2019년부터 강남, 서초, 송파 등 강남 3구가 서울시내 처방 1∼3위 자리를 내리 유지하고 있다. 동별로 보면 작년 기준 인구 대비 처방이 많이 이루어진 곳은 대치동, 반포동, 잠실동, 일원동이었다.

건보공단은 처방이 집중적으로 이뤄진 동은 부동산 가격이 높고 학원가와 밀집된 지역과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해석했다.

연구 진행한 노연숙 빅데이터융합연구부장은 "'공부 잘하는 약', '면접약' 등 사회적 성취와 관계 등 문제 해결을 위한 약물 의존 경향성이 강화되고 있다"며 "정신과 약물 사용에 대한 사회적 논의와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달 온라인으로 판매할 수 없음에도 메틸페니데이트를 불법유통·판매·알선·나눔 등을 광고하는 온라인 게시물을 집중적으로 점검했다.

식약처는 "메틸페니데이트 제품은 마약류 성분의 전문의약품으로 소비자는 반드시 의사의 처방을 받아 복용하고 오남용하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