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장종호 기자] 심한 난청 환자에게 인공와우(청각보조이식기)를 이식하면 치매 발병 위험이 크게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국내 장애등록시스템 데이터를 활용해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장애 등록 기준을 충족하는 중등도 이상의 난청을 진단받은 환자 39만 1195명을 분석했다. 모든 연구 대상자는 처음 난청 진단 당시 치매를 진단받은 이력이 없는 상태였다.
분석 결과, 인공와우 이식 환자 5814명 중 추적 기간 중 치매 진단율은 4.9%였고, 인공와우를 하지 않은 환자(38만 5381명)는 추적 기간 중 16.1%로 나타났다. 이식 환자의 치매 진단율이 비이식 환자보다 약 3분의 1 수준으로 낮았다.
특히 난청 진단 후 치매가 발생하기까지 걸린 기간은 인공와우 이식 환자가 평균 1886.9일(약 5.2년), 비이식 환자는 587.7일(약 1.6년)로 인공와우 이식 군의 치매 발병 시점이 3배 이상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인공와우 이식이 치매 위험을 낮추는 이유로 청각 재활이 난청으로 인한 '인지적 부담(cognitive load)'을 줄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난청이 심할수록 뇌는 소리를 구별하고 이해하기 위해 더 많은 에너지를 쓰게 되고, 이로 인해 기억력이나 판단력 등 다른 인지 기능에 사용할 여력이 줄어든다. 인공와우는 이러한 뇌의 과부하를 덜어주어 인지 자원을 효율적으로 재분배하게 돕는다.
장영수 교수는 "난청은 수정 가능한 치매 위험 요인 중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할 뿐 아니라, 치료를 통해 적극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영역이다"며 "난청의 치료방법 중 하나인 인공와우 이식술은 단순히 소리를 듣게 하는 기기가 아니라, 뇌의 인지기능을 지키는 중요한 치료 수단임을 이번 연구로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70세 이상에서도 효과가 확인된 만큼 고령의 난청 환자에서도 청력 치료는 청력 회복을 넘어 치매 예방의 새로운 접근이 될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향후 무작위 대조시험(Randomized Controlled Trial)을 통해 청각 재활이 인지 기능 유지에 미치는 구체적 생리학적 원리를 밝힐 계획이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Otology & Neurotology 최근호에 게재됐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