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는] (99)제인 구달의 고별 메시지 "포기 말고 당신 몫 해내세요"

기사입력 2025-11-28 07:54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성진 기자 = '포기하지 말아야 해요. 당신의 몫을 해내세요."

침팬지 연구로 저명한 동물학자이자 환경운동가인 제인 구달 박사가 향년 91세를 일기로 지난 10월 1일 별세하기 전에 했던 마지막 언론 인터뷰에서 밝힌 말이다.

파이낸셜타임스(FT) 패션 부록 HTSI 최근호(10월 18일자)는 지난 7월 영국 남부 본머스에 있는 구달 박사의 유년기 집에서 인터뷰한 것이 사실상 그의 마지막 언론 접촉이었다면서 이같이 전했다.

1934년생인 구달 박사는 어릴 적 정글북, 타잔 등에 매료됐다. 12살 때 주니어 자연주의자 모임인 앨리게이터(악어) 클럽을 만들고 십대에 동물 돌봄 모금을 하기도 했다.

이웃집에서 애완견으로 키우던 강아지에게서 동물도 인간처럼 지각 있는 존재라는 교훈을 배웠고 나중에 이를 침팬지 연구에 적용하게 된다.

나무에 올라가 몇 시간 동안 책을 즐겨 읽던 소녀 제인은 일찍이 8살 때 가족에게 장차 아프리카 숲으로 가겠다는 당찬 포부를 밝혔다.

마침 동급생 친구가 케냐 나이로비 외곽의 가족 농장에 와서 머물라는 초청을 해 23살에 어릴 적 꿈을 이뤘다.

3년 뒤 그는 탄자니아 서부 곰베로 가게 됐고 다시 인생의 전기를 맞는다. 나이로비의 명석한 고인류학자인 루이스 리키에게 고용돼 야생 상태의 침팬지를 연구하게 된 것이다.

첫날 텐트를 치고 맞은편 언덕배기에 혼자 앉아 개코원숭이 무리와 원숭이 한 마리를 바라봤는데 "바로 이거야"라고 느꼈다고 한다.

그는 오랫동안 고독하게 멀리 떨어져서 침팬지를 관찰하다가 마침내 넉 달 만에 무리 가까이 갈 수 있게 됐다. 나중에 구달의 연구로 명성을 얻게 된 침팬지 '데이비드 그레이비어드'가 허락해줬기 때문.

이곳에서 그는 침팬지가 잔가지에서 나뭇잎을 떨군 뒤 그것을 흰개미 굴에 집어넣어서 빙글빙글 돌린 다음 꺼내 거기에 달라붙은 개미를 핥아먹는 것을 보게 됐다.

침팬지도 인간처럼 도구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처음으로 발견한 중요한 순간이었다.

구달은 '호모 파베르'(Homo Faber·도구를 사용하는 인간)와 동물 간 차이의 벽을 무너뜨렸다는 이 획기적 발견으로 인해 유명 인사가 됐고, 그 이후로 쭉 침팬지 전문가의 길을 걷는다.

국내에도 번역된 '희망의 밥상'(Harvest for Hope)이라는 책에서 그는 아프리카 지역별로 침팬지가 개미를 사냥해 먹는 문화가 다르다면서 "침팬지에 대한 연구는 인류 문화의 새벽에 빛을 던져준다"고 적었다. 흥미롭게도 그는 이 책에서 가족이 식탁에 모여 식사를 같이하는 것의 중요성에 관해 얘기하기도 했다.

전 세계 동물 3분의 1이 살고 있는 아프리카는 구달 박사를 있게 한 터전이었다.

그는 단지 침팬지뿐 아니라 동물 애호와 자연 보전에도 힘썼다.

숨지기 전까지도 전 세계를 돌아다니며 이런 메시지를 전하느라 일 년에 250일이 넘는 살인적 강행군을 했다.

그는 인간의 탐욕과 무차별적 자원 개발로 동물의 터전인 자연이 파괴되는 현실에 분노했다.

그러면서 이를 막기 위해 자신의 명성까지 활용해 할 수 있는 몫은 다하려고 본을 보였다.

세상을 좀 더 나은 곳으로 만들겠다는 소명을 자각하면서 마지막까지 희망의 끈을 놓지 않았다.

그의 이름을 딴 문화교육관인 구달 희망센터가 킬리만자로산과 세렝게티국립공원 교차로에 있는 아루샤 사파리에 준공됐다.

BBC도 2026년에 그에 관한 새 다큐를 방영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HTSI 인터뷰에서 "나는 어딘가에서 도움을 받는다고 느껴요. 그것이 무슨 위대한 영적 파워이든 간에요"라며 미래에 대해 무서워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당신이 죽을 때는 모든 게 끝나버리거나, 아니면 뭔가(something)가 있던지 둘 중 하나에요"라며 "전 뭔가 있다고 믿게 됐어요. 그 뭔가를 알아내기 위해 떠나는 것보다 더 흥분되는 모험은 생각할 수 없어요"라고 덧붙였다.

sungjin@yna.co.kr

<연합뉴스>

Copyright (c) 스포츠조선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Copyright (c) 스포츠조선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