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밤, 경기 대신 '어떻게 해야 아프지 않고 뛸까'를 고민했다."
|
이유는 부상이었다. 스프링캠프부터 그를 괴롭힌 왼 팔꿈치 통증을 안고 뛰었고, 4월 중순에는 경기 도중 베이스를 밟다 왼 발목을 다치고 말았다. 주전들의 줄부상이라는 악재 속에 부상을 참고 경기에 뛰었지만, 결과는 좋지 않았다. 결국 8월 말에 시즌을 마감하고, 두 차례 수술대에 올랐다.
추신수는 지난해 시즌 종료 후에도 귀국하지 않고, 재활훈련에 매진했다. 2015년엔 기대치를 밑돌았던 지난해 성적을 만회하기 위함이었다. 재활은 순조로웠다. 그는 자신의 몸상태에 대해 "지나치게 좋다"고 농담할 정도다.
추신수는 한 달 넘게 러닝을 하고, 공을 던지며 몸을 만들고 있다. 티배팅도 곧 시작한다. 발목에 뻣뻣한 증상이 남아 있지만, 곧 해결될 문제다. 추신수는 최상의 몸상태로 스프링캠프에 합류할 수 있다는 생각이다.
추신수는 텍사스의 새 사령탑인 제프 배니스터 감독과의 수차례 면담을 했으나, 최종적으로 수비 위치나 타순이 확정되지 않았다. 텍사스는 추신수를 우익수로 이동시킬 생각을 갖고 있다. 또한 어느 타순이든 잘 소화한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추신수는 "감독님께 어떤 자리든 괜찮다고 말했다. 신경 쓰지 않는다. 난 어느 자리에서도 뛸 수 있다"고 했다.
이명노 기자 nirvana@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