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누가 뭐라고 해도 2014년은 넥센 히어로즈 내야수 서건창(26) 시즌이었다. 시즌 최종전까지 팽팽한 긴장감을 불어넣으며 201안타를 때려 단일시즌 최다 기록을 갈아치웠다. 1994년 이종범(196개)을 넘어 사상 첫 200안타를 돌파한 서건창은 정규시즌 MVP 트로피를 들어올렸다. 류현진이 2006년에 신인왕-MVP를 동시에 거머쥔 데 이어, 신인왕 출신으로는 두 번째로 MVP가 됐다. 200안타의 위력은 박병호의 '3년 연속 홈런-타점 1위'까지 밀어낼 정도로 강력했다.
15일까지 130경기를 치른 히어로즈는 14경기를 남겨놓고 있다. 남은 일정을 감안하면, 현실적으로 최다 홈런은 쉽지 않아 보인다. 그런데 홈런 이상으로 가치있는 기록이 있다. 단일시즌 최다 타점이다.
'2015년 박병호'는 '2003년 이승엽'을 넘어설 수 있을까. 공교롭게도 분위기가 비슷하다. 이승엽은 2003년 신기록을 세우고 일본으로 떠났고, 박병호는 시즌 종료 후 메이저리그 도전을 계획하고 있다. 시즌 통산기록을 대입해보면, 홈런은 몰라도 최다 타점은 가능해 보인다. 이번 시즌 박병호는 경기당 1타점 이상을 때렸다. 남은 14경기에서 10개를 추가하면 대기록이다.
|
이미 2010년 이대호(133타점)를 밀어냈다. 이승엽 심정수에 이어 역대 3위에 올라 있다.
135타점 중 85타점, 63%를 홈런으로 만들었다. 그에게 타점은 홈런의 부산물이 아니다. 박병호는 뛰어난 홈런타자이면서, 탁월한 해결사다. 득점권 타율이 3할8푼4리(245타수 94안타)나 된다. 테임즈(3할8리), 나바로(2할7푼)를 훌쩍 뛰어넘는 클러치 능력이다.
일본 프로야구 한시즌 최다 타점은 1950년 고즈루 마코토(쇼치쿠 로빈스)가 130경기에서 만들어 낸 161개다. 1930년 해크 윌슨(시카고 컵스)이 56홈런을 쏘아올리며 191타점을 생산했는데, 아직까지 메이저리그 기록으로 남아있다.
민창기 기자 huelva@sportschosun.com
◇단일시즌 최다 타점 순위
순위=선수=시즌=타점
1=이승엽=2003년 144타점
2=심정수=2003년=142타점
3=이대호=2010년=133타점
4=김상현=2009년=127타점
5=이승엽=2002년=126타점
6=박병호=2014년=124타점
7=이승엽=1999년=123타점
7=마해영=2003년=123타점
9=호세=1999년=122타점
10=테임즈=2014년=121타점
※지난 시즌까지 기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