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야흐로 연봉 협상의 계절이다. FA 시장이 사실상 막을 내리면서 각 구단은 보류 선수들과 본격적으로 협상에 나선다.
구단별로는 4년 연속 통합 우승에 성공한 삼성이 평균 1억5876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2위는 1억3981만원의 한화, 3위는 1억3196만원의 LG, SK가 1억2742만원으로 4위였다.
그런데 내년 시즌 연봉은 이보다 더 높아질 전망이다. 당장 4년간 총 84억원에 계약한 정우람의 연봉이 12억원이다. 롯데에서 5500만원을 받던 심수창은 4년 간 2억5000만원을 받는다. 또한 마운드에서 연일 투혼을 발휘한 안영명(1억5500만원) 윤규진(1억2000만원) 송창식(1억원) 등 연봉 인상 요인이 충분한 선수가 많다. 김태균도 계약금 20억원에 연봉 16억원 조건에 FA 계약을 마쳤다.
이에 반해 삼성은 원정 도박 의혹으로 애매한 상황이다. 세이브왕 임창용의 경우 5억원을 연봉으로 받았지만 아예 보류선수 명단에서 빠졌다. 8억원의 윤성환, 7억5000만원의 안지만은 거취는 좀 두고봐야 한다. 이런 상황에서 4억7000만원을 받던 박석민도 총액 96억원에 NC 유니폼을 입었다. 고액 연봉자가 한꺼번에 줄어들 수도 있다는 얘기다. 물론 이승엽(10억원) 장원삼(7억5000만원) 최형우(올해 6억원) 박한이(4억5000만원) 조동찬(4억원) 채태인(3억3000만원) 김상수(3억2000만원) 차우찬(3억원) 등 연봉이 3억원 넘는 선수가 수두룩하다. 그럼에도 선수단 평균 연봉과, 상위 27명 평균 연봉은 깎일 수밖에 없다. 최근 3년간 FA 영입에만 무려 465억원을 쏟아 부은 한화가 내년 시즌 선수단 연봉 1위에 등극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함태수 기자 hamts7@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