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동안 침체에 빠졌던 KBO리그는 월드베이스볼클래식(WBC), 올림픽 등 국제대회에서 뛰어난 성과를 내면서 성장의 동력을 얻었다. 2006년과 2009년 WBC에서 크게 선전하고, 2008년 베이징올림픽에서 우승한 뒤 리그 위상이 크게 올라가고, 국내 리그 활성화가 이어졌다.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을 딴 대표팀은 지난해 말 '프리미어 12'에서 다시 한번 우승을 맛봤다. 베스트 전력이 아니었고, 여러가지 불리한 조건에서 놀라운 성적을 냈다.
야구는 상황이 많이 다르다. 어디까지나 리그가 중심에 있다. 비시즌 기간에 주요 대회가 열리면 참가한다. 주요 국제대회가 매년 열리는 것도 아니다. 시즌중에 상대팀 전력을 분석하기도 어렵다. 주요 국가의 대표 선수 후보 풀이 너무 넓다.
양해영 KBO(한국야구위원회) 사무총장은 "기술위원회를 가동해 선수를 체크하면 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최고 선수를 대표로 뽑는 일이다. 감독은 대회 몇 달 전 기술위원중에서 선임하면 된다"고 했다. 선수 선발을 위한 준비 과정은 기술위원들이 맡아서 하면 되는데, 전임감독까지 둘 필요가 없다는 설명이다.
|
현재 일본은 고쿠보 히로키 감독을 선임해 대표팀 '사무라이 재팬'을 끌어가고 있다. 양 사무총장은 "사무라이 재팬은 상당히 특수한 경우다. NPB(일본야구기구)가 아닌 요미우리 자이언츠가 주도해 마케팅 차원에서 대표팀을 활용하고 있다. 우리와 상황이 많이 다르다"고 했다.
그동안 일본대표팀은 국제대회가 없는 비시즌 때 대만, 유럽팀과 친선전을 했다. 메이저리그 올스타팀을 초청하기도 했다. 양 총장은 "친선경기 수준의 교류전을 위해 비시즌 기간에 대표팀을 소집하기는 어렵다. 상대가 주로 아시아권 국가로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데, 큰 관심을 끌기 어렵다고 본다"고 했다.
민창기 기자 huelva@sportschosun.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