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비같던 차일목-허도환 영입, 한화의 굿초이스였다

기사입력 2016-05-03 11:37


"또 포수? 그 선수 나이도 많지 않나?"

지난해 시즌 중과 시즌 종료 후 스토브리그. 한화 이글스는 두 명의 30대 포수를 각각 트레이드와 2차 드래프트로 영입했다. 넥센 히어로즈로부터 허도환(32)을 트레이드로 받았고, 2차 드래프트 시장에서는 KIA 출신의 차일목(35)을 데려왔다.


한화와 LG의 2016 KBO 리그 시범경기가 15일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에서 열렸다. 한화 차일목.
대전=허상욱 기자 wook@sportschosun.com/2016.03.15/
야구계의 반응은 대부분 비슷했다. "포수를 또 데려온다고? 그것도 30대가 넘어 주전에서 밀려난 두 명을?" 어찌보면 이런 반응이 나오는 게 당연했다. 이미 한화에는 최고령 포수 조인성(41)이 주전으로 자리를 확고히 잡은 데다 백업포수로는 정범모(29)가 있었기 때문. 이런 상황에서 허도환에 이어 차일목까지 영입하는 건 매우 비효율적인 중복 투자라고 보는 게 일반적이다.

하지만 마치 뽕나무 잎이 바다로 변하듯, 1년 만에 팀 상황이 완전히 달라졌다. '비효율적인 중복 투자'로 여겨졌던 허도환과 차일목이 이제는 팀을 지켜주는 버팀목 역할을 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선수 영입을 주도한 김성근 감독이 이같은 상황이 벌어질 것이라고 예상했을까. 그 정도까지는 아니었을 것이다. 다만, '위기가 올 수도 있다'는 정도의 예측은 했고 그때를 대비하려는 차원에서 두 선수를 차례로 데려왔다고 보여진다. 어쨌든 이 두 30대 포수의 영입은 결과적으로 옳았다.

두 가지 변수가 발생하면서 차일목과 허도환이 현재 한화의 중심 포수 역할을 하고 있다. 일단 조인성이 다쳤다. 지난 4월13일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에서 열린 두산 베어스와의 홈경기를 앞두고 1군에서 빠졌다. 전날 두산전 경기 도중 다친 게 원인. 주루 플레이를 하는 과정에서 왼쪽 종아리에 통증이 발생했는데, 검진 결과 근육 부분 파열로 나왔다. 회복과 복귀까지 적어도 6주는 필요할 것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2016 프로야구 KBO리그 한화이글스와 LG트윈스의 경기가 15일 대전 한화생명이글스파크에서 열렸다. 경기전 한화 포수 허도환이 수비훈련에 매진하고 있다.
대전=최문영 기자 deer@sportschosun.com /2016.04.15/
주전 포수의 이탈은 엄청난 손실이 아닐 수 없다. 당장 대안이 나와야 했다. 여기서 두 번째 변수가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백업 포수로 51경기에 출전했던 정범모의 이탈이다. 정범모는 지난해 중순 허벅지 부상이후 기량이 지속적으로 감퇴됐다. 여전히 재활 중인데, 현재 2군 퓨처스리그 경기에도 나오지 못하고 있다. 부상도 부상이지만, 그 여파로 인해 포수로서의 역량 자체가 이전에 비해 크게 떨어져 있다.

결과적으로 지난해 시즌 종료 후 이뤄진 차일목 영입은 정범모의 부상 및 기량 저하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었다는 게 드러난다. KIA에서는 설 자리를 잃었던 차일목은 한화에 온 뒤 스프링캠프 때부터 강한 의욕을 보이며 훈련에 매진했다. 그 덕분에 조인성이 빠지자 주전 자리를 맡게 됐다. 하지만 포수 한 명이 모든 경기를 전부 책임질 순 없다. 필수적으로 백업이 있어야 한다. 2군에 있던 허도환이 콜업돼 그 자리를 맡았다. 결국 두 포수의 영입은 위기가 닥치자 큰 효과로 이어지고 있다. 4월 마지막주 한화는 4승1패의 상승세를 탔다. 여기서 최소 2승은 차일목과 허도환이 만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차일목은 4월29일 대전 삼성전의 결승타를 쳤고, 허도환은 1일 대전 삼성전 동점타와 역전 결승타의 주역이었다.


이원만 기자 wman@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