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정현석 기자]소문은 사실이었다.
조정위원회를 통한 조정 심판까지 갈 경우 2011년 롯데 자이언츠 이대호 이후 10년 만이다. 이대형은 조정위원회가 열리기 전 취소한 바 있다. 이대형을 끝으로 2013년부터 2020년까지 조정신청은 단 한건도 없었다.
신청 취소가 없을 경우 KBO는 조정위원회를 구성해 열흘 이내인 21일 전까지 조정을 종결해야 한다. 주 권과 구단 측이 18일 오후 6시 전까지 제출할 근거자료를 바탕으로 선수와 구단 희망 연봉 중 하나를 택일하게 된다.
이후 8시즌 동안 단 한건도 없었던 연봉조정 신청. 그만큼 선수가 이길 확률이 떨어졌다는 의미다. 조용했던 흐름을 깨고 주 권이 조정 신청을 한 이유는 무엇일까. 선수와 구단은 나란히 '형평성'을 이야기 한다.
선수는 비교 대상 다른 선수들과의 형평성 문제를 제기한다.
주 권은 올 시즌 홀드왕이다. 절반이 넘는 77경기에서 70이닝을 소화하며 6승2패 31홀드에 2.70의 평균자책점을 기록했다.
보이는 성적 뿐 아니라 실질적 내용도 좋았다. 마무리 이대은이 흔들리며 김재윤으로 교체되는 과정 속에서 KT 불펜의 버팀목이었다. 가장 터프한 상황에서 마운드에 올라 숱한 위기를 극복해 냈다. 명실상부 팀 내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불펜 투수였다. 시즌 중 혹사 논란으로까지 이어졌을 정도다.
리그 전체를 놓고 봐도 불펜 투수 주 권의 실질 팀 공헌도는 최정상급이었다. 실제 KT 투수 중 연봉 고과가 가장 높은 선수가 바로 주 권이었다.
2019년까지 하위권에 머물던 팀 성적 탓에 1억5000만 원의 연봉에 묶여 있었던 점을 감안, 팀 성적이 난 이번만큼은 최소 1억 원 인상을 통해 자존심을 찾기를 원하고 있다.
KT 구단 역시 형평성을 이야기 한다.
창단 첫 포스트시즌 진출에 주 권의 공로가 크다는 사실은 인정한다. 불펜에서 희생한 만큼 많이 주고 싶다.
다만 시스템의 한계상 예외를 두기 어렵다. 모두에게 똑같이 적용되는 정확한 구단 평가 시스템을 통해 산정된 7000만 원 이상을 인위적으로 올려줄 수 없다는 입장이다. 예외를 둘 경우 다른 선수들과 형평성이 맞지 않는다는 논리다.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격감한 관중과 마케팅 수입도 인상 총액 규모에 부정적 여파를 미쳤다.
하지만 주 권은 구단의 평가 시스템 속에 도출된 인상 규모를 객관적으로 납득할 수 없다는 입장. 결국 같은듯 다른 '형평성'에 대한 해석의 차이를 놓고 끝까지 평행선을 달린 양 측의 최종 선택지는 연봉조정 신청 뿐이었다.
정현석 기자 hschung@sportschosun.com
2021 신축년(辛丑年) 신년 운세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