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조선 김영록 기자]거듭된 오만의 결과는 예고된 참사로 나타났다.
'위기'가 입에 밴 KBO리그의 진짜 위기다. 2010년대 찬란했던 프로야구 중흥기는 다름아닌 2008 베이징올림픽을 통해 유입된 팬들 덕분이었다. 13년만에 올림픽에 돌아온 야구, 하지만 결말은 참담하다.
대회 전부터 트러블이 거듭됐다. 선수 선발 과정부터 논란이었다. 코로나19 여파로 고통받는 팬들을 외면한 선수들의 일탈이 이어졌고, 그중에는 대표팀 선수들과 리그를 대표하는 베테랑들이 포함됐다. 리그 흥행에는 찬물을 부었고, 대표팀의 전력은 더욱 약화됐다. 올림픽이 열리기 전부터 이미 분위기는 '김빠진 콜라'였다.
|
빅리그 승격을 앞뒀던 코리안 마이너리거에겐 관심도 주지 않았다. 그 결과 황재균은 팔자에 없는 2루수로 나서고 있다. 그나마 박해민과 오지환을 '뽑지 않겠다'던 스스로의 다짐을 번복한 게 천만 다행이다. 두 선수가 없었다면 이번 올림픽은 더욱 끔찍했을 것이다.
미국과 일본 야구를 논할 자격도 없다. '숙적' 일본에겐 여지없이 꺾였다. 마이너리거와 은퇴 선수들이 뭉친 미국에게 '실력 차이'라는 말밖에 표현할 길이 없는 2연패를 당했다. 이스라엘과 도미니카공화국에도 고전했던 걸 생각하면 당연한 일이다.
|
객관적 전력 열세를 매경기 뒤집고 있다. 역부족인 것만 같았던 세계랭킹 7위 도미니카공화국, 5위 일본, 4위 터키를 연파했다. 다음 상대는 2위 브라질이다.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게 중론이지만, '도장깨기'를 해온 매경기 예상도 마찬가지였다. 대표팀 은퇴를 앞둔 김연경을 중심으로 똘똘 뭉친 결과다.
배부른 야구와 간절했던 배구의 차이다. 지켜본 팬들의 눈이 안다.
김영록 기자 lunarfly@sportschosun.com
▶재테크 잘하려면? 무료로 보는 금전 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