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포츠조선 이종서 기자] "일단 3년은 지켜보자."
샐러리캡 상한선은 2021년과 2022년 외국인 선수와 신인 선수를 제외한 각 구단 소속 선수 연봉(연봉, 옵션 실지급액, FA 연평균 계약금 포함) 상위 40명의 금액을 합산한 구단의 연평균 금액 120%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설정됐다. 그 결과 2023년 각 구단의 샐러리캡은 총 114억2638만원으로 설정됐다.
첫 샐러리캡 적용은 2023년부터 2025년까지 3년 간 유지된다. 이후 물가 상승률을 반영돼 조정될 수 있다.
10개 구단 단장은 샐러리캡 도입에 대해 대부분 찬성 의사를 내비쳤다.
특히 강한 찬성 의사를 내비친 A구단 단장은 "KBO리그 환경에 샐러리캡은 꼭 필요하고, 3년 뒤에도 존속돼야 한다. 상한선은 논의를 통해서 조절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순기능과 역기능을 비교했을 때 순기능이 더 강하다. 특정팀 쏠림 현상을 방지해 리그 전력 평준화를 가지고 가는 것은 스포츠의 의외성과 재미를 유지한다는 측면에서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라며 "3년 후 인플레이션 등을 감안해 상한선을 조정하는 작업, 연봉 하한성을 설정하는 논의와 함께 유지 돼야 한다"고 밝혔다.
B구단 단장 역시 "세계 대부분의 연고도시 중심 프로 스포츠리그는 샐러리캡(하드캡 혹은 소프트캡)을 운영한다. 지역간 혹은 기업간 팀 편차를 줄여서 리그 흥행을 유도해야하기 때문이다. 우린 이제 막 시작하는 단계기 때문에 존폐를 논하기 보다는 근본 취지를 바탕으로 3년을 지켜보면서 단계별로 수정해 나가는 것이 옳다"고 역설했다. 이 외에도 대부분 단장들 역시 "시행하기로 한 만큼 3년은 해본 뒤 수정 단계를 거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샐러리캡 제도 자체에 대해서는 필요성을 인정하지만 구체적인 내용이 현실과 맞지 않다는 의견도 나왔다. C구단 단장은 "샐러리캡은 필요하나 10개 구단 평균을 기준으로 하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생각한다. 연봉 상위 5개 구단의 평균을 기준으로 하는 등 설정 방법의 보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D구단 단장 역시 "과거 샐러리캡 도입 추진 시 취지와 다르게 흘러 가는 것 같다. 소수구단의 선수 독점과 선수 연봉의 과도한 상승을 방지하고자 샐러리캡을 도입했는데 막상 시작해보니 샐러리캡에 여유있는 구단들의 경쟁으로 A급 선수들의 대우만 높아지는 현상이 생기는 것 같다"며 "아직까지 샐러리캡이 필요하다고는 생각하고 있으나 KBO를 중심으로 제도를 발전적으로 개선해 나가는 방향을 논의해야 할 듯 하다"고 설명했다.
F단장 또한 "구단의 자율성에 맞기는 게 좋을 듯 싶다. 전력평준화 등 시행 의도는 분명 좋았지만 실제적인 효과가 있는지는 미지수다. 3년 후 다시 심도있게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고 실효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했다.
한편 샐러리캡을 위반한 구단은 1회 초과 시 초과분의 50%에 해당하는 금액을 제재금으로 납부 해야 한다. 2회 연속하여 초과 시는 초과분의 100%에 해당하는 금액을 제재금으로 납부해야 하며 다음 연도 1라운드 지명권이 9단계 하락한다. 3회 연속하여 초과 시에는 초과분의 150%에 해당하는 금액을 제재금을 납부해야하고 다음 연도 1라운드 지명권이 9단계 하락한다.
이종서 기자 bellstop@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