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스포츠조선 김용 기자] 유니폼이 뭐길래?
유니폼 때문이다. KIA는 이번 키움 3연전에 캐릭터 '쿠로미'와 콜라보레이션(이하 콜라보)한 특별 유니폼을 착용했다. 이에 맞춰 팬들도 유니폼 및 관련 상품들을 구입할 수 있게 된 것. 광주는 이번주 한낮 35도에 육박하는 폭염에 시달렸다. 하지만 이 살인 더위도 팬들의 열정을 막을 수는 없었다.
|
|
'유니폼 시대'가 도래한 두 가지 이유가 있다. 먼저 팬 서비스다. 지난해 처음 1000만명 관중이 넘은 KBO리그. 그 인기 상승의 핵심은 바로 젊은팬들의 유입이다. 특히 여성팬들이 대폭 늘었다. 이 팬들은 야구도 좋지만 선수와 굿즈에 대한 관심이 엄청나다. 마치 '아이돌' 그룹을 응원하는 것처럼 팀과 선수들을 응원하는데 선수와 열성팬들 간 매개가 바로 유니폼 등 굿즈다. 이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끊임 없이 새롭고 참신한 상품을 개발해야 한다.
|
두 번째는 프로 세계의 기반, 돈이다. 프로팀은 당연히 티켓과 상품을 팔아 돈을 벌어야 한다. 그런데 젊은팬들이 화끈하게 지갑을 여니 그 수익 비중이 점점 커진다.
대표적으로 LG 트윈스가 올해 인기 캐릭터인 '헬로키티'와 콜라보해 만든 유니폼이다. 딱 3일을 판매했는데, 난리가 났다. 정확한 액수를 공개할 수는 없지만 '헉' 소리 나는 매출을 기록했다는 후문. 판권을 산 곳이나, 유니폼 생산 및 판매 대행 업체에 수수료를 지불하고도 구단이 얻은 수익으로 스타급 선수 1명의 연봉을 충당할 수 있을 정도라면, 어떤 구단이라도 이 유니폼 사업에 적극적으로 뛰어들지 않을 수 없다. 실제 KIA는 지난해 김도영 스페셜 유니폼 한 종을 100억원어치 이상 판매하는 '초대박'을 터트렸다.
|
한 구단 마케팅 담당자는 "팬들이 너무 좋아하시고, 구단도 수익이 나니 '일석이조'의 사업이다. 티켓은 한 경기 정해진 수량만 팔 수 있다. 하지만 굿즈는 그 끝이 없다. 구단들이 야구 뿐 아니라 굿즈 생산과 판매에 열을 올릴 수밖에 없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광주=김용 기자 awesome@sports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