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C 연고지 이전, 일주일 안에 결판난다

기사입력 2016-04-20 14:38


전주KCC와 고양 오리온의 2015-2016 프로농구 챔피언결정전 1차전이 19일 전주실내체육관에서 열렸다. KCC가 82-76으로 승리했다. 경기 종료 후 승리의 기쁨을 나누는 KCC 선수들의 모습.
전주=허상욱 기자 wook@sportschosun.com/2016.03.19/

전주 KCC로 남느냐, 수원 KCC가 되느냐. 운명의 일주일이다.

KCC 고위 관계자는 20일 스포츠조선과의 통화에서 "빠르면 이번주, 늦어도 다음주까지 연고지 이전 여부가 결정날 것 같다. 아직 확정된 부분이 없지만,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다른 관계자도 "선수단 소집이 5월16일이다. 길게 끌어봤자 좋을 게 없다"며 "조만간 결과물이 나올 것"이라고 전했다.

통산 5차례 챔피언에 등극한 KCC는 2001년부터 전주를 안방으로 썼다. 홈 팬들의 열성적인 응원 문화가 유명한 곳이다. 하지만 낡은 경기장이 문제다. 덕진동에 위치한 실내체육관은 1973년 지어졌다. 안전평가에서도 낙제점에 가까운 C등급을 받았다. 따라서 구단이 경기장 천장에 대형 플랜카드라도 달려고 하면 시에서 제지한다고 한다. 유독 전주실내체육관이 시끄러운 이유도 앰프 소리가 빠져나갈 곳이 없게 설계됐기 때문이다.

반면 수원시에는 2월 개장한 칠보체육관이 있다. 4400석 규모의 최신 시설을 자랑한다. 시는 프로야구, 프로축구, 프로배구에 이어 프로농구단까지 유치해 수원을 스포츠 메카로 만들고자 한다. 프로야구 10구단 유치 경쟁 당시 직접 발로 뛴 염태영 수원 시장이 이번에도 강력한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흘러가는 분위기는 연고지 이전에 무게가 실린다. 구단이 낙후된 경기장 안전 문제를 심각하게 여긴 건 하루 이틀 일이 아니다. 다만 구단은 이번 사태와 관련돼 최대한 말을 아끼면서도 "전주에 새 구장이 지어지면 우리가 이전할 이유는 어디에도 없다"고 강한 어조로 말하고 있다. 열성적인 팬들, 뜨거운 응원 문화를 포기하고 싶지 않다는 얘기다.

하지만 실내체육관 이전 사업은 매번 도돌이표다. 2009년부터 최근까지 시와 구단이 머리를 맞대고 고민했지만 오랜 숙원 사업은 원점으로 돌아가기 바쁘다. 현실적으로 체육관 신축은 불가능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얘기다.

지금까지 시가 추진한 방안은 크게 3가지다. ▲월드컵경기장 내 체육관 건립 ▲종합운동장 철거 뒤 컨벤션센터 건립 ▲현 덕진동 체육관 철거 후 체육관 건립이다. 그러나 첫 번째 계획은 사업비 확보 등의 문제로 물거품 됐다. 두번째 방안도 비시즌 컨벤션센터를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 등의 문제로 추진하지 못했다. 게다가 국민체육진흥법에 따르면 종합운동장을 철거했을 땐 같은 건물을 외곽에 지어야 한다. 이 때 재원 확보도 쉽지 않다.

결국 남은 건 세 번째 방안이다. 하지만 이마저도 덕진동 땅이 전북대 소유인 탓에 무작정 추진하기가 쉽지 않다. 건물을 철거했을 때, 전북대 측에서 다시 그 땅을 내어주지는 않을 것이란 우려다.


또 하나, 전주시의 경우 KCC에 대한 지원도 상대적으로 매우 소극적이다.

하지만 KCC가 수원으로 이전한다고 해도 문제가 발생한다.

KBL의 연고지는 기형적이다. 이미 수도권에만 5개 팀이 몰려있다. 서울에 두 팀(삼성, SK)가 있고, 안양(KGC) 고양(오리온) 인천(전자랜드) 등이 있다. KCC마저 전주에서 수원으로 옮기면, 수도권에만 무려 6개 팀이 위치한다.

10개 팀 중 6개 팀이 수도권이고, 나머지 3개팀이 경상남도(울산, 부산, 창원) 1개팀 만이 강원도 원주(동부)에 있다.

즉, 프로농구는 충청도, 전라도, 경상북도 등에 연고지가 없어진다.

상징성의 문제도 있다. 프로농구판에서 가장 열성적인 응원을 보내는 곳이 창원과 전주다. 농구의 메카와 같은 대표적인 도시가 전주다.

하지만,KCC가 그동안 다져놓았던 전주 농구 팬을 포기한다면, KBL 전체적인 흥행 몰이에 강력한 이상현상이 생길 수 있다. 결국 KCC가 재정과 체육관 시설 등을 문제로 연고지를 이전한다는 것은 전주와 KCC 모두에게 '루저 게임'이 될 수밖에 없다.

문제는 현실적인 타개책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전주시에서 새로운 체육관을 건립해야, KCC가 연고지 이전을 백지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번 사태를 잘 아는 한 농구 관계자는 "시가 컨벤션센터를 짓기 위해 태스크 포스팀을 구성했다가 현실적인 문제에 부딪혀 포기한 것으로 안다. 최대 65만 시민의 전주에서는 인천, 고양처럼 컨벤션센터 운영에 따른 수익을 낼 수 없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며 "실내체육관 이전은 오랜 숙원 사업이지만 예산 확보, 이전 위치, 대책 마련 등 근복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가 많다"고 밝혔다. 류동혁 기자 sfryu@sportschosun.com, 함태수 기자 hamts7@sportschosun.com

:) 당신이 좋아할만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