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조선 류동혁 기자] 오리온이 예상 외에 대승을 거뒀다.
당초, 접전이 예상됐다. KCC는 라건아가 버티고 있다. 물론 타일러 데이비스는 이번 대회 출전하지 않았다. 하지만 라건아는 조별예선에서 매우 위력적 모습을 보였다. 이미 몸상태가 갖춰졌다.
오리온은 이대성 이승현 최진수 허일영 등 베스트 5가 매우 탄탄하다. 단, 1순위 외국인 선수 제프 위디가 발목부상으로 이날 나올 수 없다. 때문에 2순위 외국인 선수 데드릭 로슨만이 출전이 가능하다. 골밑에서 열세가 점쳐진 상황.
여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
로슨의 첫 경기는 실망스러웠다. 슈팅이 좋은 빅맨. 그러나 골밑 수비는 약했다.
이날은 달랐다. 라건아를 상대로 매우 영리했고, 적중도 높은 골밑슛을 성공시켰다. 특히, 골밑 근처의 플로터, 핑거롤은 라건아가 도저히 막을 수 없었다.
라건아의 수비 약점도 고스란히 드러났다. 외곽 수비가 좋지 않은 라건아다. 1쿼터 슈팅 컨디션을 점검한 로슨은 2, 3쿼터 무차별적 3점포를 꽂았다. 라건아가 견제를 위해 외곽으로 나오면, 그대로 돌파를 통해 골밑 득점을 만들어냈다.
여기에 이승현 이대성 최진수 등과 함께 트라이앵글을 만드는 공격 조직력도 돋보였다. 3쿼터까지만 로슨은 27득점.
1순위 외국인 선수 제프 위디보다, 데드릭 로슨이 오히려 오리온 공격력 배가에는 더욱 좋은 카드가 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시켰다.
|
KCC는 12인 로테이션을 쓰겠다고 했다. 전창진 감독은 그렇게 말했다.
그 방법이 가장 효율적이다. 이정현과 송교창, 그리고 라건아가 있지만, KCC는 김지완 유현준 유병훈 등 가드진이 풍부하다. 단, 확실한 토종 빅맨은 없는 상황이다.
때문에 베스트 5를 고정하는 것보다 12인 로테이션을 돌리는 게 좀 더 전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가드진의 풍부하기 때문에 어떤 조합을 맞춰도 유연하게 흘러갈 수 있는 장점도 있다.
KCC의 12인 로테이션, 스몰 라인업에는 전제조건이 있다. 매우 활동적이어야 하고, 정적인 공격보다는 좀 더 동적인 오펜스가 어울린다. 그래야, 상대가 느끼는 수비 부담감이 상당히 많다.
즉, 미스매치 활용이나 포스트 업 공격보다는 2대2, 3대3의 패싱 게임, 백 도어, 컷 인 등 스페이싱을 활용한 게임 플랜이 더욱 유효하다.
하지만, 이날은 정 반대였다. 라건아의 포스트 업 공격이 중심. 당연히, 공격 자체가 정적으로 흘렀다. 평균 신장이 작은 KCC 입장에서 오리온의 수비는 버거울 수밖에 없다.
▶결정적 승부처
라건아의 포스트 공격도 너무 단순했다. 오리온은 로슨이 일단 라건아의 공격을 정지시킨 뒤, 이승현이 재빠르게 더블팀을 하면서 스틸을 노렸다. 2쿼터 중반, KCC의 라건아 포스트 플레이를 오리온의 더블팀 수비가 응징하면서 속공으로 연거푸 연결됐다. 여기에서 양팀의 격차가 급격히 벌어졌다. 흐름을 완벽히 내줬다. 이승현의 수비력은 정말 대단했다. 라건아와의 포스트 1대1 수비에서도 전혀 밀리지 않았다.
오히려 오리온이 KCC가 필요한 매우 동적인 공격을 했다. 로슨은 내외곽을 오가면서 슈팅과 패싱 링커 역할을 했다. 이대성은 트랜지션의 돌격대장으로 끊임없이 2대2를 했다. 여의치 않을 경우, 반대편의 최진수와 허일영, 그리고 이승현의 2대2 공격이 물 흐르듯이 이어졌다. 물론 KCC는 라건아가 스크린을 받은 뒤 반대쪽 포스트로 이동, 포스트 업 공격을 시도하면서 변화를 줬지만, 전체적 흐름과 공격 구조에는 변함이 없었다. 라건아가 37득점, 13리바운드를 올렸지만, 이런 식의 활용은 12인 로테이션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없다. 군산=류동혁 기자 sfryu@sportschosun.com
▶무료로 보는 오늘의 운세